"美 물가상승률 2%면 中·브라질 등 신흥국 증시부터 무너진다"

이슬기 2021. 3. 3. 08: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지속적으로 2%에 가깝거나 이를 상회하는 수준이 된다면 중국을 비롯해 브라질·필리핀 등 신흥국 증시가 크게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재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에서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브라질, 칠레, 아르헨티나, 말레이시아, 필리핀, 파키스탄 등은 물가 상승을 억제할 필요성이 있고, 중국은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겠으나 이미 통화정책 모멘텀은 긴축을 가리키고 있다"며 "유가가 높은 레벨을 유지하는 가운데 하반기 들어서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실제로 2%에 지속적으로 가까운, 내지는 이를 상회하는 모습이 나타난다면 브라질을 포함한 통화정책 긴축 기조 선회 국가들의 증시 낙폭은 상당히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證 "신흥국, 금리 급등으로 부채 증가 우려도..국지적 금융위기까지 우려"
[이데일리 이슬기 기자]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지속적으로 2%에 가깝거나 이를 상회하는 수준이 된다면 중국을 비롯해 브라질·필리핀 등 신흥국 증시가 크게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재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에서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 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브라질, 칠레, 아르헨티나, 말레이시아, 필리핀, 파키스탄 등은 물가 상승을 억제할 필요성이 있고, 중국은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겠으나 이미 통화정책 모멘텀은 긴축을 가리키고 있다”며 “유가가 높은 레벨을 유지하는 가운데 하반기 들어서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실제로 2%에 지속적으로 가까운, 내지는 이를 상회하는 모습이 나타난다면 브라질을 포함한 통화정책 긴축 기조 선회 국가들의 증시 낙폭은 상당히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주(2월 22~26일) 글로벌 증시의 조정 폭이 컸다. 유가가 빠르게 60달러를 상향 돌파하면서 미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졌고, 이에 통화 정책의 정상화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의구심이 커진 영향이다. FF금리선물을 통해 반영되는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한 차례 인상할 확률은 10%를 넘어섰다.

그런데 많은 국가들 중에서도 중국(-7.6%)과 브라질(-7.1%), 아르헨티나(5.0%) 등 증시의 낙폭이 컸다. 특히 브라질 시장의 경우 엄청난 폭의 금리 급등까지 동반됐다. 브라질 국채 10년 금리는 일주일 간 50bp(1bp=0.01%)나 상승했다.

강 연구원은 이에 대해 “만일 미국에서 테이퍼링이 언급되며 글로벌 주식시장에 뿌려져 왔던 자금들이 회수되면 특히 라틴과 중국에서의 자금 이탈 강도가 클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증시 낙폭의 모양새는 이를 미리 보여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강 연구원은 “주식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게 되는 시점에 통화정책이 완화적인 기조에서 긴축적인 기조로 선회하고 있는 곳이 경기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은 국가고 이들 지역의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더 빠른 속도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특히 브라질이 문제다. 강 연구원은 “유가 상승이 브라질 경기를 빠르게 회복시키고 있지만 오히려 이것으로 인해 높아진 물가 상승 압력이 금리 인상을 단행하게끔 만들고 있고, 이는 향후 경기를 둔화 시키게 될 것이라는 점이 더욱 강하게 부각될 것”이라며 “3분기 미국이 테이퍼링 언급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는데, 브라질 기준금리가 작년 말 대비 100bp 이상 인상되어 있는 그 시점에는 브라질 경기 모멘텀은 이미 상당히 후퇴하고 있는 중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경기 회복 측면에서 기대할 것이 없어진 브라질 금융시장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특히나 매력도가 크게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심지어 이들 신흥국에게는 증시 위축 뿐 아니라 국지적인 금융위기의 모습까지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강 연구원은 “금리 급등으로 코로나를 회복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늘어난 정부부채와 대외부채의 압박이 급격히 커질 가능성이 있다”며 “이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는 단순히 주식시장에서의 자금 이탈 문제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소위 국지적인 금융위기의 모습까지도 나타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강 연구원은 “앞서 언급한 브라질을 포함한 통화정책 긴축 기조 선회 국가들의 증시 낙폭은 상당히 클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들에 대한 투자 비중을 점차 줄여 나가는 것이 옳다는 판단이다”라고 말했다.

이슬기 (surug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