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엔 수소가 에너지 화폐" 정의선-최태원, 수소사회 위해 뭉쳤다

박찬규 기자 2021. 3. 3. 04: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이 손을 맞잡고 수소 관련 사업 분야에서 다각적인 협력을 추진한다. (왼쪽부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사진=장동규 기자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이 손을 맞잡고 수소 관련 사업 분야에서 다각적인 협력을 추진한다. 두 그룹은 수소전기차 1500여대 공급과 함께 수소 및 초고속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한국판 수소위원회(K-Hydrogen Council)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2일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은 인천광역시 서구 소재 SK인천석유화학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 참석에 앞서 양 그룹 주요 경영진들이 면담하고 수소 생태계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두 그룹은 청정 에너지인 수소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탄소 중립 달성의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에 공감하고 양 그룹 간 사업 시너지가 창출될 수 있는 협력 분야를 적극 모색하는 차원에서 이날 협의를 진행했다.

수소전기차 보급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함께 발굴한다. 먼저 SK그룹 사업장에서 운영 중인 차 1500여대를 현대차가 생산한 수소전기차로 점차 전환하며 수소카고트럭(2022년 예정)과 수소트랙터(2024년 예정) 등 수소상용차를 현대차그룹이 제공하고 SK그룹이 활용하는 방안 등을 협의했다.

수소 및 초고속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모은다. 올 연말까지 인천/울산 지역의 물류 서비스 거점인 SK내트럭하우스에 상용차용 수소충전소를 각 1기씩 설치하며 전국의 SK 주유소 등에 수소 충전소를 설치하기 위한 구체적 협력 방안도 지속 협의할 계획이다.

SK 주유소 등에 전기차 급속 충전기(200kW급)를 설치하는 방안도 협의하는 등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현재 현대 강동 하이차저는 SK네트웍스의 주유소를 충전 거점으로 리모델링한 사례다. 이곳에서는 초급속충전기도 설치됐으며 현대차그룹 외 차종도 충전이 가능하다.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의 협력은 전기차 배터리에서부터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의 1차 배터리 공급사로 SK이노베이션을 선정하기도 했다.



수소사업 위해 뭉쳤다


국내 기업간 수소사업 협력을 위한 CEO 협의체인 ‘한국판 수소위원회’ 설립도 상반기 중 추진한다. 한국판 수소위원회는 국내 기업들의 수소 사업 역량 강화 및 사업 영역 확대 등을 통해 진정한 수소사회 구현을 견인하기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수소는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저장체로도 활용할 수 있어 탄소 중립 시대의 ‘에너지 화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SK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수소의 생산, 유통, 활용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는 건전한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고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통한 수소사회의 실현을 한 발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은 간담회 이후 인천광역시, 인천서구청과 인천광역시 수소 사업 기반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현대차그룹은 2013년 세계 최초의 수소전기차 양산을 시작으로 수소 분야의 퍼스트 무버로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연간 수소전기차 50만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70만 기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국내 기업간 수소 사업 협력을 위한 CEO 협의체인 ‘한국판 수소위원회’ 설립도 상반기 중 추진한다. /사진=장동규 기자

SK그룹도 지난해 12월 차세대 에너지로 수소 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방침 아래 ‘수소사업추진단’을 출범하고 국내 수소 사업 추진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통해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이날 SK의 발표에 따르면 SK그룹은 앞으로 총 18.5조원에 달하는 투자계획이 예정돼있다.

1단계로 2023년까지 인천시의 ‘바이오∙부생 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 사업’과 연계해 부생수소 기반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액화 수소 3만톤을 공급할 계획이다. ‘바이오∙부생 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 사업‘은 인천시가 SK인천석유화학의 부생수소와 수도권매립지 바이오수소를 기반으로 추진하는 자립형 수소도시 조성 사업이다.

2단계는 2025년까지 이산화탄소를 제거한 청정 수소 25만톤을 보령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인근지역에서 추가로 생산할 예정이다. SK는 국내에서 연간 총 28만톤의 친환경 수소를 생산∙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SK는 국내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건설, 조선, 자동차 제조업 분야는 물론 연료전지, 수소 생산 분야에서도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는 인천 지역을 포함해 총 20만9000명의 고용유발 효과와 사회·경제적 편익 34조1000억원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태원 회장은 "수소는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생산에 소요되는 부지 면적이 작아 국내 환경에 적합한 친환경 에너지"라며 "SK가 대한민국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섬으로써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업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머니S 주요뉴스]
"LG 치어리더 예쁘네"… 빨간 드레스 뒤태 '아찔'
"엄청 예뻐졌네요"… 고은아, 8kg 감량 후 '짠~'
"살 쪘나?"… 선미, 초밀착 바디수트룩 '논란'
"헉! 하의 안 입었어?"… 효민, 착시 의상에 '깜짝'
"너도 XXX 당하고 싶어?"… 이나은, 해명 보니
"아빠가 누구니?"… KTX 햄버거 막말녀 '헉'
버리고 달아난 엄마 차에 매달렸다 사망?
"父에게 죄송"… 정혁, 기초생활 수급자 고백
미카엘 재혼, 요가강사 박은희 미모 '깜놀'
"자숙 아닌 탈퇴"… 수진에 화환이?

박찬규 기자 star@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