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버스정류장 우리동네에도?

2021. 3. 2. 16: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년 국토교통부 업무보고
④스마트시티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버스정류장 우리동네에도?
이제 전국이 스마트도시가 됩니다.

[Before]그동안의 스마트시티 사업은?
’18년부터 국가시범도시(세종, 부산) 건설, 기존도시 스마트화 사업인 스마트챌린지, 해외수출 등 정책을 다변화하면서 사업 추진
그간 스마트시티의 제도, 추진전략등기반마련에 초점을 두었다면, 올해부터 국민체감 제고 등 성과 가시화에 집중

[After]
1. 전국 도시의 스마트화
“스마트시티를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부산스마트빌리지 : 미래형주거단지 조성·입주
100% 에너지 자립이 가능한 제로에너지 주택단지, 로봇택배, 스마트홈 IoT, 헬스케어등 4차산업 혁신서비스 제공
-세종 퍼스트타운 : 실증·체험이 가능한 혁신공간 조성
자율주행, PM등 스마트모빌리티, 로봇주차, 헬스케어, 신재생에너지 실증·체험관 운영

“지역의 신규·재개발 중인 지구를 ‘스마트시티 특화단지(교통·환경·에너지 등)’로 조성합니다.”
지역 주도로 공공·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사업을 시행하고, ICT 대기업 참여 등 특례 부여 및 정부지원 추진(’21.下 사업지 선정)
“스마트챌린지 사업을 ’21년 44곳 선정 추진(지자체 36곳, 대학 8곳) 합니다.”
더 많은 지자체가 서비스를 발굴·실증할 수 있도록 챌린지 사업을 확대하고, 대학과 연계한 서비스발굴을 신규 추진.
특히, 그간 스마트챌린지 등을 통하여 효과성이 검증된 9개 우수 서비스를 전국 도시에 보급[20곳 내외]하여 국민체감을 확산

2.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수출 확대
-K-City 네트워크
국제공모(’21.2 공고)를 통해 해외에 스마트시티 계획수립을 지원하고,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조치 추진
-수출모델
①패키지형 도시개발(통합 도시개발체계 법·제도+솔루션), ②솔루션형(교통·플랫폼 등)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 수출모델 마련(’21.下 )
-국제협력
월드스마트시티 엑스포를 개초(’21.9)하고, 국제기구와 공동사업을 확대(’21.下) 하여 중동·중남미로의 진출기반마련

3. 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체계 확산
통합플랫폼
·CCTV 기반도시관제망(108개 지자체 보급)
·여성안심귀가, 112·119 연계 등 10개 서비스

데이터허브
·도시데이터 수집·분석·제공 등 통합관리 플랫폼
·MasS, 스마트에너지등 데이터 활용 서비스 제공

CCTV·센서 등이 결합된 도시관제망을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 통합운영플랫폼’으로 발전시켜 주요도시에 순차적으로 보급 추진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버스정류장 디지털 혁신 기반 전국 스마트도시화 국토교통부가 선도합니다!

☞자세한 내용 보러가기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