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배달 시장 3년새 6.4배 성장

이충진 기자 hot@kyunghyang.com 2021. 3. 2. 15: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온라인을 통한 배달 음식 시장이 지난 3년 새 6배 이상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온라인 주문으로 이뤄지는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지난해 17조4000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78.6% 급증했다.

이 같은 음식서비스 거래액은 관련 통계가 있던 첫 해인 2017년 2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6.4배 수준으로, 이 중 95%는 모바일을 통한 주문 거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가 유통업계를 휩쓴 지난 해는 전년도인 2019년 9조7000억원의 2배 가까이 될 정도로 배달 음식 시장은 급성장했다.

배달 라이더. /김기남 기자


업계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외출과 회식을 자제하고 집에서 배달 앱으로 음식을 주문해 먹는 일이 급증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배달 대행업체 바로고의 경우 지난 해 전국 배달 대행 건수는 1억3322만건에 달했다. 전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134.0% 성장. 배달업계 관계자는 “그 동안에도 음식 배달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왔지만 코로나19가 그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음식 배달 시장은 앞으로도 당분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시간 제한 등 방역 규제를 받는 음식점들이 배달로 눈을 돌리고 소비자들의 수요도 커지면서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 앱에 입점하는 업체들이 대폭 늘었기 때문. 기존에는 배달 음식하면 치킨·피자 등을 떠올렸지만 이제는 집에서 구워 먹는 고기뿐만 아니라 커피, 빵, 아이스크림 등 디저트까지 배달된다. 여기에 일정 기간 정기적인 배달이 이뤄지는 구독서비스 역시 확대되면서 성장세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 예로, 커피 전문점 중 마지막까지 배달 서비스를 하지 않던 스타벅스도 지난해 11월부터 배달 서비스에 나섰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매장 2곳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 데 이어 올해 1월 배달 서비스 매장을 3곳 더 늘렸다.

이충진 기자 hot@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