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광역시? 특별자치도?.. 대구경북 행정통합 2가지 방안 제시

박원수 기자 2021. 3. 2. 14: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인 하혜수(왼쪽) 위원장과 김태일 위원장이 2일 대구시청에서 행정통합과 관련한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구시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위한 2가지 방안이 제시됐다.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는 2일 대구시청에서 언론 브리핑을 열어 향후 행정통합과 관련해 특별광역시와 특별자치도 2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공론화위가 제시한 방안에 따르면 이중 첫번째 방안이 대구경북 특별광역시안이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2가지 방안. /대구시

이 안에 따르면 광역지자체 대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대 기초지자체의 동일한 행정계층간 대등한 통합방식을 적용해 31개 자치구·시·군(7개 자치구, 10개 시, 14개 군) 체제로 재편한다.

두번째 방안은 대구경북특별자치도안이다.

융합형 통합방식을 적용해 대구시를 특례시 형태로 해서 특례시·시·군(1개 특례시, 10개 시, 13개 군) 체제로 재편하고 현재 대구시 소속의 기초자치단체는 준자치구로 변경하는 것이다.

대구경북행정통합의 재정과 관련해서는 제주도와 같이 지방교부세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특례를 확보해 대구경북특별자치정부의 전체 예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체제로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공론화위는 부문별 발전전략도 제시했다.

산업경제 부문에서는 대구는 제조서비스, 금융, 문화 등 고부가가치서비스업을 육성하고, 경북은 기존 주력 제조업과 이전해온 제조업을 스마트 친환경화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지역별 특화 연계 산업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농업·농촌 부문에서는 광역 통합 먹거리 체계구축을 목표로 먹거리 생산(경북)과 먹거리 소비(대구) 거점을 연계함으로써 지역 농업의 회복과 먹거리 품질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문화관광 부문에서는 지역 문화관광자원의 통합적 활용을 목표로 문화시설 및 단체, 문화인력간의 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활성화로 지역 간 문화 불균형을 해소시키기로 했다.

공론화위는 그밖에 복지·보건, 교육, 환경, 재난안전, 자치행정, 부문에서 각각 발전전략을 제시했다.

공론화위는 이와 관련 4일부터 9일까지 대구, 경북 동부권, 서부권, 북부권에서 4차례에 걸쳐 권역별 대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또 여론조사, 빅데이터 조사, 각종 미디어 토론, 대구경북 시도민 500명이 참가하는 숙의토론조사 등을 통해 이번 초안을 다듬어 4월 하순까지 기본계획안을 작성할 계획이다.

김태일 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은 “기본계획 초안 발표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가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한다'며 “구체적인 방안을 기초로 다양한 가치와 이해가 표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