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채금리 안정 찾자 S&P500 6월이후 최대폭 상승

김태일 2021. 3. 2. 07: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3월 시작과 함께 미국 국채금리 상승세 진정에 따라 급등했다.

1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03.14포인트(1.95%) 오른 31,535.51에 거래를 마감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증시 마감 무렵 1.43% 수준에서 거래됐다.

미국의 신(新) 부양책과 코로나19 백신 등도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3월 시작과 함께 미국 국채금리 상승세 진정에 따라 급등했다.

1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03.14포인트(1.95%) 오른 31,535.51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2.38%(90.67포인트) 상승한 3,901.82에 거래를 마치며,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일일 상승률을 찍었다. 나스닥 지수는 396.48포인트(3.01%) 급등한 13,588.83에 장을 마감했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주 급등했던 미 국채 금리가 안정세를 나타내면서 투자자들을 안심시킨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증시 마감 무렵 1.43% 수준에서 거래됐다. 지난주 일시적으로 1.6%를 넘는 등 급등한 이후 다소 진정됐다.

이에 따라 이날 애플은 약 5.4%, 테슬라는 6.4%가량 급등하는 등 그동안 맥을 못 췄던 주요 기술주도 반등세를 보였다.

여기에 연준 인사들의 “금리 상승이 우려할 만한 현상이 아니다”라는 연잇는 발언도 한 몫 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긍정적인 경제 전망을 고려하면 채권 금리의 상승이 놀랍지 않다”면서 “금리 상승이 경제를 제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 역시 미 국채 10년 금리가 2.1%까지 오르기 전에는 주식에 큰 위험 요소가 되지 않을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의 신(新) 부양책과 코로나19 백신 등도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미 보건 당국은 존슨앤드존슨(J&J)이 개발한 백신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미국에서 승인된 세 번째 백신이다.

미 하원은 지난 주말 1조9000억 달러 부양책 법안을 통과시켰다. 민주당은 상원에서 논란이 되는 최저임금 인상안을 빼고, 나머지 법안을 신속하게 통과시킨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공화당 지지 없이도 부양책의 상원 통과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스닥 #S&P #미국 #다우존스 #증시 #뉴욕증시 #급등 #상승 #반등 #국채금리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