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마디' '박검동'.. 이 이름, 한글의 역사로 남았다

채민기 기자 2021. 3. 2. 0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 '문자 혁명' 展
1449년 간행된 '사리영응기'에 등장한 한글 이름들을 모아 제작한 전시물. /국립한글박물관

‘李오마디’, ‘薛쟈가동’, ‘朴검동’….

조선의 문신 김수온이 세종의 명을 받아 펴낸 ‘사리영응기’(1449)는 사람 이름을 한글 활자로 인쇄한 최초의 책이다. 궁궐 내 법당 건립에 참여한 이들의 이름 가운데 47개가 한글로 적혀 있다. 한자로는 명확하게 표기하기 어려웠던 민초들의 이름이 한글 덕에 기록으로 남았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왕실에서 간행한 한글 서적을 통해 한글이 뿌리내리는 과정을 보여준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 4월 25일까지 열리는 ‘문자 혁명’은 권력자들이 독점했던 문자가 모두의 것으로 보편화되는 과정을 한국과 독일의 인쇄물·서적 등 300여 점의 유물을 통해 보여주는 전시다. 두 나라는 15세기 중반에 문자 보급과 관련된 세계사적 사건이 일어났던 곳이다. 세종은 1443년 한글을 창제했고 비슷한 시기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를 발명했다.

금먹으로 불경을 써내려가는 사경(寫經)이나 양피지에 화려하게 채색하는 성서 필사는 아무나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었다. 이후 등장한 인쇄술이 문자 보급의 하드웨어 혁신이라면 자국어 사용과 번역은 소프트웨어 혁명이었다. 조선의 세조가 어머니 소헌왕후를 추모하며 간행한 ‘월인석보’, 신성로마제국 막시밀리안 1세 황제의 명으로 발간된 기사 영웅담 ‘토이어당크’ 등 전시된 유물들은 이런 과정을 보여준다.

한국·독일의 인쇄용 서체 발달사를 별도로 조명한 점이 눈에 띈다. 한글은 기하학적인 형태에서 붓글씨의 영향을 받아 유려한 궁체로 변해갔다. 반면 독일에서는 ‘안티크바’처럼 둥근 느낌의 서체 이후 날카롭게 꺾인 느낌의 ‘프락투어’가 독일을 대표하는 서체로 떠올랐다. 문영은 학예연구사는 “문자가 문화와 가치를 담는 그릇이라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말했다. 채민기 기자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