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일본'소부장, 혁신기술에 미래 달렸다

임광복 2021. 3. 1. 18: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수출규제 20개월 동안 정부와 업계의 혼신을 담은 기술개발로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도 급상승했다.

일본의 3대 수출규제 품목인 불산액·EUV레지스트·불화폴리이미드는 국내 자체 생산과 유럽·미국 등 수입다변화로 수급위기를 넘겼다.

정부는 일본 3대 수출규제 품목인 불산액·EUV레지스트·불화폴리이미드를 국내생산, 유럽·미국 등 수입처 다변화로 적극 대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韓日 수출규제 갈등 2년
불산액·EUV레지스트 등 3대품목
수입처 다변화로 日 의존도 낮춰
정부도 추경 풀어가며 R&D 지원
뒤쫓아가는 전략으론 승산 없어
시장 재편할 '와해성 기술' 필요

/사진=뉴스1

#1. 지난 2019년 7월 일본 수출규제로 한국 기업들은 일본 무라타 등이 전 세계 60%를 점유한 자동차센서소재 확보에 애를 먹었다. 급기야 국내 중소기업 센서텍은 정부지원 80억원을 받아 국내 완성차 2개사와 관련 소재 테스트에 나섰다. 이 같은 연구개발(R&D)로 획득한 기술 덕분에 2020년형 7종 이상의 차량에 일본 제품을 대체하는 쾌거를 이뤘다.

#2. 반도체 화학증착장비(CVD)는 일본 도쿄일렉트론(TEL) 등이 세계시장의 90%를 장악했다. 일본 수출규제 후 유진테크는 2019년 9월~2021년 12월 정부에서 67억5000만원의 지원을 받아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업과 공동 기술개발을 통한 홀로서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 수출규제 20개월 동안 정부와 업계의 혼신을 담은 기술개발로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도 급상승했다.

일본의 3대 수출규제 품목인 불산액·EUV레지스트·불화폴리이미드는 국내 자체 생산과 유럽·미국 등 수입다변화로 수급위기를 넘겼다. 나머지 대일 100대 품목도 수입처를 다변화하고, 품목별 평균적 재고를 2배 이상으로 늘려 일본의 규제 파고를 넘었다. 하지만 핵심기술을 보유한 일본의 견제망에서 벗어나 기술자립을 실현하기 위해 혁신적인 '와해성 기술'(업계를 완전히 재편성하고 시장 대부분 점유할 기술) 등 특단의 접근이 요구된다.

■국내생산·수입처 다변화로 탈일본

1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일본 수출규제에 맞서 정부가 일궈낸 소부장 산업 초기대응 성과를 바탕으로 중장기적 투자를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일본 3대 수출규제 품목인 불산액·EUV레지스트·불화폴리이미드를 국내생산, 유럽·미국 등 수입처 다변화로 적극 대응했다. 또 일본 수출규제 대응 2019년 소부장 1.0전략, 2020년 코로나19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 대응 '소부장 2.0전략' 등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19년 추경~2020년 약 2조원을 투입해 현재까지 100대 품목 중 총 85개 품목에서 기술개발에 착수했다. 또한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일본 수출규제뿐 아니라 코로나19 GVC 재편에 대응해 소부장 338+α개 품목에 대한 수급대응에 나섰다. 올해는 BIG3(바이오·자동차·반도체)·탄소중립 등 소부장 R&D에 2조200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소부장을 체계적으로 밀착지원, 2024년까지 으뜸기업 100개도 육성키로 했다.

■핵심기술력 위한 중장기 투자 시급

하지만 핵심기술력을 갖추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80~100년 몇 대에 걸친 가족경영으로 소부장 기술을 축척, 세계적 위상을 갖췄다. 한국은 일본 수출규제 이후 부랴부랴 기술개발에 나서 아직 업력이 짧다. 전문가들은 오랜 기술 축적이 요구되는 소부장 산업에서 일본을 쫓아가는 '패스트 팔로어' 전략으론 승부를 내기 어렵다고 본다. 그 대신 신기술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우리는 압축성장으로 이미 스마트폰 등 디지털기술로 일본을 추월한 경험이 있다. 소부장산업도 일본의 뒤를 쫓아선 성과내기 어렵고, 혁신적인 '와해성 기술' 등 새 접근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소부장 관련 한 전문가는 "소부장은 시장규모가 작고 깊게 파야 성과가 나오는데, 기존 방식대로 따라가면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며 "산업 성격상 세계 최고 기업이 돼야 꾸준히 살아갈 수 있다. 와해성기술로 새 패러다임을 만들어야 한다" 강조했다.

#일본 #혁신 #수출규제 #소부장 #와해성 기술 #으뜸기업 #퍼스트 무버 #패스트 팔로워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