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야구단 정용진 오너에게 필요한 것은 인내심

이환범 2021. 3. 1. 15: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일 국내 프로야구와 경제뉴스는 신세계그룹 정용진(53) 부회장의 클럽하우스 등장이었다.

"우승 반지를 끼고 싶어 야구단을 인수했다." "NC 다이노스 구단주 김택진 대표를 '택진이 형'이라고 부르는 게 부러웠다며 자신에게도 '용진이 형'이라고 불러도 좋다"는 가십성 뉴스가 도배를 했다.

강팀도 시즌에 45% 정도는 패하는 게 프로야구다.

신세계 야구단 정용진 오너의 "우승 반지를 끼고 싶어 야구단을 인수했다"는 발언은 야구에 열정을 과시한 긍정적 면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A=스포츠서울 문상열전문기자] 1일 국내 프로야구와 경제뉴스는 신세계그룹 정용진(53) 부회장의 클럽하우스 등장이었다. 기자들의 현장 취재없이 야구관련 커뮤니티에 포스트된 글 등을 종합한 보도다. “우승 반지를 끼고 싶어 야구단을 인수했다.” “NC 다이노스 구단주 김택진 대표를 ‘택진이 형’이라고 부르는 게 부러웠다며 자신에게도 ‘용진이 형’이라고 불러도 좋다”는 가십성 뉴스가 도배를 했다.
NC 다이노스는 KBO리그 신생 구단으로는 가장 빨리 한국시리즈 정상에 오른 팀이다. 1군 무대에 2013년 데뷔해 8년 만에 초고속으로 우승을 거머쥐었다. 프로 구단으로 가장 모범적인 길을 걸은 팀이다. 한화 이글스의 경우 1986년에 창단돼 1999년 13년 만에 우승에 도달했다.
신세계 그룹 정용진 부회장.
프로 팀은 구단주의 의지가 우승에 절대적인 힘이 된다. 주인없는 프로 구단의 우승이 어려운 이유다. MBC 청룡은 1982년 프로 원년 출범 때 초호와 멤버를 갖추고도 우승을 이루지 못했다. MBC를 인수한 LG 트윈스가 1990년 곧바로 정상에 올라섰다. 그러나 구단주의 의지만으로 우승할 수 없는 게 야구다. 페넌트레이스가 워낙 길고, 장단기 청사진이 있어야 되고, 여기에 승운이 따라야 한다. 물론 과감한 투자는 전력 향상에 지름길인 터라 우승 기간을 단축할 수는 있다.

신세계가 SK와이번스를 인수할 때 민경삼 사장과 류선규 단장의 임기를 2년 동안 보장한다는 합의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런 각서는 스포츠 구단에서 별 효력이 없다. 성적이 모든 것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당장 2021시즌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을 때 성적 부진 책임을 물어 사장과 단장을 해고한다고 각서를 내밀 것인가. 민 사장과 류 단장은 20년 이상 야구단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들로 전문성을 발휘할 시기다.

신세계는 여자농구단을 15년 동안 운영한 적이 있다. 그리고 일방적으로 해체했다. 신세계에는 여자농구단을 운영해본 직원들이 있다. 시간이 흐르면 이들이 야구단에 자연스럽게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영향력도 기존 SK 직원보다 클 것이다. 농구단을 통해 우승을 경험한 간부들이 착각하는 게 있다. 야구단 운영을 매우 가볍게 본다는 점이다. 해태를 인수한 기아가 그랬다. 야구와 농구는 선수단 규모와 시즌 운영이 하늘과 땅 차이다. 농구는 슈퍼스타 1,2명으로 우승이 가능하다. 야구는 어림도 없다. 메이저리그 출신 추신수가 신세계에 가세했다고 우승을 보장할 수 없다.

야구 구단주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강팀도 시즌에 45% 정도는 패하는 게 프로야구다. KBO리그도 10개팀으로 구성돼 있어 한국시리즈 우승이 쉽지 않다. 앞으로는 MLB처럼 우승에 도달하는데 30,40년이 소요될 수 있다. 신세계 전신 SK는 2000년 창단돼 4차례나 우승한 명문구단이다. 창단이지만 모회사 부도로 공중분해되는 쌍방울 레이더스 선수단과 프런트 인원과 틀을 받아들여 인수나 다름 없다. 코칭스태프와 신인지명권까지 그래도 승계했다. 가장 인기가 좋은 롯데와 LG는 1992년, 1994년 우승이 마지막이다.

신세계 야구단 정용진 오너의 “우승 반지를 끼고 싶어 야구단을 인수했다”는 발언은 야구에 열정을 과시한 긍정적 면이다. 하지만 구단 직원들에게는 심리적 압박감을 주는 언어다. 직원들이 조급함을 드러낼 수 있다. 모든 구단이 구단주의 의지대로라면 우승을 몇 번씩 해야 된다. 한국시리즈 우승은 참으로 여려운 과정이다. 다행인 것은 2007년~2010년 3차례 우승 주역인 민 사장과 류 단장이 프런트의 중심에 있다는 점이다.

moonsy1028@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