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2주년 맞아 광주·전남 항일운동 사료발굴 활발

김용희 2021. 3. 1. 14: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1운동 102주년을 맞아 광주·전남 항일운동을 재조명하는 자료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한국학호남진흥원은 호남지역 만세운동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판결문으로 본 광주·전남 3·1운동> 을 출간했다고 1일 밝혔다.

<판결문으로 본 광주·전남 3·1운동> 은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광주·전남 3·1운동 관련 345명의 1심, 2심, 3심 재판 판결문을 번역해 호남지역 만세운동 특징과 지역별 전개 상황, 참여 인물을 정리한 630여쪽 분량 국역자료집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학호남진흥원, 전남대 잇단 발표
한국학호남진흥원이 3·1운동 102주년을 맞아 펴낸 <판결문으로 본 광주·전남 3·1운동>.한국학호남진흥원 제공

3·1운동 102주년을 맞아 광주·전남 항일운동을 재조명하는 자료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재)한국학호남진흥원은 호남지역 만세운동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판결문으로 본 광주·전남 3·1운동>을 출간했다고 1일 밝혔다.

<판결문으로 본 광주·전남 3·1운동>은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광주·전남 3·1운동 관련 345명의 1심, 2심, 3심 재판 판결문을 번역해 호남지역 만세운동 특징과 지역별 전개 상황, 참여 인물을 정리한 630여쪽 분량 국역자료집이다.

판결문 번역을 주관한 박해현 초당대학교 교수는 일제가 광주·전남 만세운동 규모를 의도적으로 축소했다고 주장했다. 조선총독부가 3·1운동을 진압하고 작성한 ‘소요사건 별표’와 ‘소요사건 일별 조표’를 보면 만세운동 가담자 수는 전북 3710명, 전남 2868명이다. 이는 경기 12만9528명, 충북 3만2730명, 충남 4만여명에 비해 훨씬 적다. 또 시위횟수(1919년 3월1일∼4월10일)는 경기 288회, 충남 75회, 충북 56회, 전남 44회, 전북 39회로 나와 있다.

하지만 박 교수는 1920년 중국 상하이에서 박은식 선생이 펴낸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는 전남·북 시위가 222회로 나와 있어 총독부의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1894년 동학운동과 1908년 한말 의병투쟁이 일어난 호남의 항일정신을 왜곡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판결문으로 본 광주·전남 3·1운동>은 1∼12일 광주광역시청 1층에서 주요 인물 판결문 전시와 함께 배포될 예정이다.

1919년 미국에서 한국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해 결성된 대한여자애국단 단체사진.전남대 제공

전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김재기 교수 연구팀은 일제강점기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뒀던 대한여자애국단(이하 애국단)의 항일운동 내용이 실린 1930년 2월20일치 <신한민보>를 공개했다.

신한민보에는 애국단이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지지하며 현재 가치로 5천만원을 후원하기로 하고, 각 지부의 의견을 묻는 공문 내용이 실려 있다. 당시 애국단은 “금번 내지학생운동(광주학생독립운동)은 (3·1만세운동을 계승한) 제2차 독립운동”이라고 규정하며, 고통받고 있는 광주학생들을 비롯한 조선의 학생들을 대한여자애국단이 후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여자애국단은 1919년 3·1만세운동의 영향을 받아 1919년 8월5일 한인 노동자 수백명이 농장에서 일하고 있던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 디뉴바((Dinuba)에서 ‘가정의 일용품을 절약해 독립운동 후원금을 마련하고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결성됐다. 이들이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대한인국민회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전달한 후원금은 4만6000달러에 달한다.

김재기 교수는 “이제라도 대한여자애국단을 광주학생독립운동 참여 단체로 새롭게 분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