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과학펠로우십' 대상자 선정..5년간 연구 지원

김태진 기자 2021. 3. 1. 12: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젊은 과학자 311명..연 1억3천만원 지원

(지디넷코리아=김태진 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젊은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세종과학펠로우십 대상자를 선정하고 연간 1억3천만원씩 5년간 연구 지원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의 도전적 연구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 대상자를 선정하고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측은 “지난해 업무 계획을 통해 젊은 과학자 육성을 핵심 방향으로 제시하고 연구 현장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 세종과학펠로우십을 기획했다”며 “올해부터 지원을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세종과학펠로우십은 박사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박사후연구원(비전임교원 포함)을 대상으로 연 1억3천만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낮은 처우와 불안정한 지위에 있는 비정규직연구원이 안정적으로 원하는 연구를 하고 자유롭게 연구실을 이동할 수 있으며 전임교원과 전임 연구원으로 채용돼도 계속 지원된다.

올해 총 311명의 우수 젊은 과학자를 선정했으며 향후 5년간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선정된 311명 중 대학에 소속된 박사후연구원과 비전임교원이 278명(89.4%)이며, 정부출연연과 기타 소속 연구원이 33명(10.6%)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기초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여성 연구원은 124명(39.9%)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여성 연구책임자가 차지하는 비중인 17.5%(2019년 기준)와 비교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대학 소속 연구원은 97명(31.2%)으로 지역에서 연구를 수행 중인 젊은 과학자에 대한 지원이 향후 지역 대학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종과학펠로우십의 가장 특징은 박사후연구원에게 최고 수준의 인건비(연 6천500만원)와 연구비(연 3천500만원)를 지원해 다른 과제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인건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 76.8%에 해당하는 연구원(239명)이 인건비 계상률을 80%이상 책정한 것으로 분석돼 충분한 인건비 확보를 통해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한국연구재단이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응답자 총 826명)에서 원하는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충분한 인건비 확보(429명, 52.3%)라고 응답했다.

선정된 연구자들은 젊은 과학자가 혁신을 이끌어가는 핵심 주체로 성장하는데 세종과학펠로우십이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의견을 전했다.

올해 2월 박사 학위를 취득하자마자 선정된 박사후연구원인 A씨는 “연구 경험은 적지만 평소 하고 싶었던 독창적 아이디어로 선정됐다”며 “앞으로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해가고 싶다”고 밝혔다.

또한 프랑스의 연구기관에서 연구 중이던 박사후연구원 B씨는 세종과학펠로우십을 지원받아 한국으로 돌아와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그리고 4명의 자녀를 둔 박사후연구원 C씨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며 “ 특히 가족과 함께 생활하며 연구함과 동시에 자녀 수당까지 추가로 지원돼 연구에 더 몰입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세종과학펠로우십은 연구비 지원뿐만 아니라 창의적 연구 주제 및 방향을 스스로 계획하고 연구 확장에 도움을 주기 위해 중견·리더급 연구자들과의 멘토링과 연구성과 공유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또, 고용과 지위가 불안정한 박사후연구원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해 과제 신청 시 소속이 없더라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일부 제도를 개선해 하반기에 추가 선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봉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한국의 과학 기술 발전과 젊은 과학자의 성장은 함께 한다”라며 “연구의 꿈을 갖고 도전하는 젊은 과학자들이 세종과학펠로우십을 통해 성장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태진 기자(tjk@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