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두뇌톡톡' 치매 예방 효과..장기 기억력 13% ↑

조진호 기자 ftw@kyunghyang.com 2021. 3. 1. 10: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를 기반으로 한 기억 훈련 프로그램 ‘두뇌 톡톡’이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SK텔레콤은 1일, 서울대 의대 이준영 교수 연구팀이 2019년 10월∼2020년 2월 60세 이상 노인 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두뇌톡톡’을 지속 이용한 노인들의 장기 기억력이 13% 향상되고, 작업 기억력도 11.4% 향상되는 등 치매 발현 지연에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과를 담은 논문은 의료정보학·헬스케어 분야 국제 학술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최근 발표했다.

두뇌톡톡은 이 교수팀이 개발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SK텔레콤과 함께 AI 스피커 ‘누구’에 적용했다. ‘누구’와 대화하며 퀴즈를 푼 뒤 기억검사를 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교수팀은 8주 동안 하루 3회 두뇌톡톡을 이용한 집단 40명과 이용하지 않은 집단 40명의 인지 능력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두뇌톡톡을 이용한 집단의 ‘장기기억력’, ‘언어 유창성’, ‘작업기억력’ 관련 수치가 각각 13%, 11.4%, 15.5% 향상됐다. 언어 유창성은 사고 유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작업기억력은 학습 기능에 영향을 주는 일종의 단기 기억이다.

이 교수팀은 “‘두뇌톡톡’은 국내외 의료시설에서 치매 예방·관리에 활용하는 대면 ‘메타기억훈련’(MMT)과 유사한 효과가 있다”며 “이는 ‘두뇌톡톡’이 오프라인 훈련처럼 치매 발현율을 30% 이상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SKT의 AI 스피커 ‘누구’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 ‘두뇌톡톡’이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SK텔레콤


SK텔레콤은 “AI 스피커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이 치매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라며 “세계적 수준의 학술지에 게재돼 의학적으로 검증받았다는 점이 의미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지방자치단체들과 연계해 취약계층 노인 8000여명을 대상으로 ‘두뇌톡톡’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지난해 8월부터는 자사 인공지능 기반 시니어 특화 서비스 ‘누구 오팔’을 통해 유료 이용을 원하는 고객들에게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이 교수팀과 협업해 두뇌톡톡 고도화 및 대중화에 나설 계획이다.

조진호 기자 ftw@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