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그림이 인공지능의 작품일까?

곽노필 2021. 3. 1. 10: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우선 A에서 G까지 알파벳 번호가 매겨진 7점의 그림을 훑어보자.

강가다바틀라 교수는 아마존 터크(Amazon Mechanical Turk)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험참가자 211명을 모집하고, 이들에게 7점의 그림을 보여주며 인공지능이 그린 건지, 사람이 그린 건지 답해줄 것을 요청했다.

5점의 인공지능 그림 가운데 단 한 점을 제외한 모든 인공지능 그림에 대해 인간이 그린 것이라는 답변 비율이 50%를 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반인 대상으로 그림 7점 놓고 물어본 결과
대부분이 인공지능 그림 5점 중 1점만 맞혀
영국 `데일리메일'에서 재인용.

이 글을 읽기 전에 우선 A에서 G까지 알파벳 번호가 매겨진 7점의 그림을 훑어보자. 그림 가운데 사람이 그린 것은 두점뿐이다. 나머지는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이다. 어느 그림이 사람이 그린 것일지 점 찍어 놓은 뒤 읽어내려가 보자. 정답은 글 하단에 있다.

추상화에서 풍경화, 정물화에 이르기까지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은 이제 억대의 값에 팔릴 정도로 기술 발전을 이뤘다. 2018년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선 인공지능 그림이 43만달러(4억8000만원)에 팔려 화제가 됐다. 인공지능 그림이 미술시장에서 거래되는 현실은 그만큼 인공지능의 그림 수준이 높아졌다는 징표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과 화가가 그린 그림을 구별해낼 수 있을까?

미국 콜로라도볼더대 하샤 강가다바틀라(Harsha Gangadharbatla) 교수(저널리즘)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대부분이 인공지능의 그림과 사람의 그림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수많은 실제 그림을 보고 훈련하는 방식으로 그림 실력을 쌓는다. 기계학습에 사용한 그림 수가 많을수록 붓놀림이 사람이 그린 것과 흡사해진다.

구상화는 사람, 추상화는 기계가 그린 것으로 생각

강가다바틀라 교수는 아마존 터크(Amazon Mechanical Turk)라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험참가자 211명을 모집하고, 이들에게 7점의 그림을 보여주며 인공지능이 그린 건지, 사람이 그린 건지 답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75~85%는 인공지능 그림 5점 중 하나만 맞히고 나머지 4점은 잘못 추측했다. 응답자들이 맞힌 것은 인공지능이 그린 추상화였다. 5점의 인공지능 그림 가운데 단 한 점을 제외한 모든 인공지능 그림에 대해 인간이 그린 것이라는 답변 비율이 50%를 넘었다.

답변 결과를 분석해 보면 참가자들은 일반적으로 구상화는 인간의 작품으로, 추상화는 기계의 작품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가다바틀라 교수는 또 참가자들이 그림 작업의 주체가 사람이냐 인공지능이냐에 따라 작품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예컨대 컴퓨터가 만들어낸 작품이라는 걸 알게 되면 그림의 가치를 덜 매겼다.

강가다바틀라 교수는 `더타임스' 인터뷰에서 “창의성과 창작 과정은 인간이 쥐고 있는 마지막 영역으로 남아 있다”며 “그러나 오래지 않아 컴퓨터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작품을 만들어낼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컴퓨터가 사람들이 묵시적으로 인간 본질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뭔가를 만들어낸다면 이는 감정이나 정서를 알고리즘으로 재현할 수 있다는 걸 뜻하는 것일까”라고 반문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