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투사 장진홍 손녀 "3·1운동 정신으로 코로나 극복"

박홍식 2021. 3. 1. 09: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3·1운동 정신으로 코로나를 이겼으면 좋겠습니다."

독립운동가 장진홍(1895~1930) 의사의 손녀 장예진(9·대구 왕선초2)양은 '3·1운동 정신으로 코로나 극복'이라고 쓴 글과 그림을 자신의 SNS에 올려 코로나19 극복을 염원했다.

백선기 칠곡군수는 "코로나로 엄중한 시국에 3·1운동 102주년을 맞았다"며 "코로나 위기 앞에 3·1정신을 되새기며 다시 한번 단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칠곡군, 114명 독립유공자 배출 '항일독립운동' 산실
장예진 *재판매 및 DB 금지


[칠곡=뉴시스] 박홍식 기자 = "3·1운동 정신으로 코로나를 이겼으면 좋겠습니다."

102주년 삼일절을 맞아 독립운동가의 현손녀(증손자의 딸)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응원하는 메시지를 전했다.

독립운동가 장진홍(1895~1930) 의사의 손녀 장예진(9·대구 왕선초2)양은 '3·1운동 정신으로 코로나 극복'이라고 쓴 글과 그림을 자신의 SNS에 올려 코로나19 극복을 염원했다.

장진홍 의사는 중국 베이징에서 폭탄 제조법을 배우고 국내로 잠입해 1927년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를 주도한 혐의로 체포돼 사형을 선고받았다. 옥중에서 투쟁을 이어가던 선생은 일본인의 손에 죽는 것을 거부하고 독립만세 삼창을 외치며 자결했다.

장양은 1일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자신이 쓰고 그린 글과 그림을 들고 기념촬영을 했다.그림에는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며 코로나와 싸우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다.

3·1운동 당시 우리 민족이 만세를 외치며 독립에 대한 용기와 희망을 얻고 결국 광복을 이뤘던 것처럼 한마음 한뜻으로 코로나에 대응한다면 이겨낼 수 있다는 믿음에서다.

장양은 "3·1운동을 잊지 않고 기억해 코로나를 이겨냈으면 좋겠다. 독립운동가 후손이라는 이름이 부끄럽지 않게 친구들에게 모범이 되고 싶다"고 했다.

장양의 할아버지 장상규(82)씨는 광복회 경북도지부 칠곡·고령·성주연합지회장이다. 아버지 장준희(52)씨는 칠곡군 공직자다.

백선기 칠곡군수는 "코로나로 엄중한 시국에 3·1운동 102주년을 맞았다"며 "코로나 위기 앞에 3·1정신을 되새기며 다시 한번 단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칠곡군은 장진홍 의사를 비롯해 114명의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항일독립 운동의 산실이다. 독립유공자의 공훈을 기리고 호국정신 확산을 위해 칠곡군은 애국동산 확장, 보훈회관 건립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phs643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