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읽는 세상] 라면값 인상 놓고.."총대 누가 메나" 눈치싸움 치열

박종필 2021. 3. 1.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품업계는 통상 연말연초에 가격 인상을 발표한다.

원자재 가격 인상, 인건비 부담 상승 등을 이유로 든다.

라면회사도 눈치를 보고 있지만 선뜻 가격 인상엔 못 나서고 있다.

오뚜기는 진라면 가격을 9% 인상하겠다고 했다가 닷새 만에 자진 철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각하기와 글쓰기
▶식료품값이 왜 줄줄이 오르는지를 알아보자.
국제 밀가격 크게 올랐는데
라면값은 3~5년째 그대로
오뚜기, 여론 부담에 '인상 철회"
샘표·동원·풀무원·맥도날드..
식품·외식 메뉴 연초 줄 인상

식품업계는 통상 연말연초에 가격 인상을 발표한다. 원자재 가격 인상, 인건비 부담 상승 등을 이유로 든다. 한 업체가 총대를 메면 다른 기업이 뒤따르는 식이다. 올해도 햇반부터 빵 햄버거 통조림 등 주요 품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라면업계도 눈치를 보고 있다. 다른 품목보다 소비자의 심리적 저항이 커서 선뜻 못 나서고 있다. 인상 발표를 했다가 번복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올초 식료품 가격 인상도 예년과 다르지 않다. 국내 두부 시장 1위인 풀무원이 두부와 콩나물 가격을 10%가량 인상했다. 동원F&B도 꽁치와 고등어 통조림 가격을 각각 13%, 16% 올렸다. 샘표식품도 반찬 통조림 제품 12종을 35%가량 인상된 가격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코카콜라도 출고가를 100~200원가량 인상했고, 롯데칠성음료는 대표 제품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가격을 각각 6.6%, 7.9% 인상했다. 즉석밥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CJ제일제당과 오뚜기도 출고가를 7~8% 올렸다. 술값도 오를 가능성이 크다. 정부가 맥주와 막걸리에 붙는 주세를 개편하면 주류 제조사가 세금 부담을 소비자 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 파리바게뜨와 맥도날드, 롯데리아 같은 프랜차이즈 기업도 연초 가격 인상에 나섰다.

라면회사도 눈치를 보고 있지만 선뜻 가격 인상엔 못 나서고 있다. 라면은 ‘서민 먹거리’로 인식돼 유독 소비자 저항이 심하다. 오뚜기는 진라면 가격을 9% 인상하겠다고 했다가 닷새 만에 자진 철회했다. 오뚜기는 2008년 3월 진라면 가격을 올린 게 마지막이었다. 농심과 삼양식품도 각각 2016년과 2017년에 마지막으로 가격을 올렸다.

박종필 한국경제신문 기자 jp@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