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AI로 '우리동네 범죄위험도' 실시간 예측한다

김주현 기자 2021. 3. 1.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찰이 AI(인공지능)·빅데이터를 활용해 구열별 범죄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범운영에 돌입한다.

경찰청은 오는 2일부터 전국 3개 시·도경찰청에서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Pre-CAS)을 한 달간 시범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범죄통계·112신고 등 경찰 치안데이터와 인구·기상 등 공공데이터를 통합한 빅데이터를 AI가 분석해 범죄위험도를 예측한다.

범죄예측 시스템은 먼저 울산·경기북부·충남청 등 3개 시·도 경찰청에서 시범운영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뉴스1


경찰이 AI(인공지능)·빅데이터를 활용해 구열별 범죄위험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범운영에 돌입한다.

경찰청은 오는 2일부터 전국 3개 시·도경찰청에서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Pre-CAS)을 한 달간 시범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범죄통계·112신고 등 경찰 치안데이터와 인구·기상 등 공공데이터를 통합한 빅데이터를 AI가 분석해 범죄위험도를 예측한다.

또 방범시설 현황과 치안데이터 같은 범죄예방 자료의 통합관리·비교분석이 가능하다. 위험 예상지역에 대한 선제적인 예방순찰과 지역 특색에 맞는 맞춤형 범죄예방 활동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역별 위험도 예측 결과/사진제공=경찰청


범죄예측 시스템은 일정구역(100m×100m)별로 범죄위험도 등급을 10개로 구분해 2시간 간격으로 표시한다. 범죄위험도가 높은 장소와 경로는 순찰차 내비게이션에 자동으로 전달한다. 또 시간·장소별로 범죄와 무질서 발생 건수를 예측한다.

지역의 방범시설 현황과 112신고내역, 범죄예방진단 결과를 한 화면에서 비교하고 범죄위험도가 높지만 CCTV(폐쇄회로TV)·비상벨이 부족한 장소, 질서위반 112신고가 많지만 관리 장소에서 제외됐거나 순찰이 미흡한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범죄예측 시스템은 먼저 울산·경기북부·충남청 등 3개 시·도 경찰청에서 시범운영한다. 오는 4월 중에는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경찰은 현장에서 효율적인 범죄예방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첨단 시스템을 개발·지원하는 역할에 집중하고 시·도경찰청은 이를 현장에 활용하는 역할을 분담해 자치경찰제 시행에도 국민의 촘촘한 안전망 구축에 빈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재결합한 전 남편과 다시 이혼…재산분할 못 하겠다네요"'집사부' 주식 교실…'슈카' 포트폴리오 본 이승기의 반응“이현주, 에이프릴 탈퇴 왕따 때문 극단적 선택까지” 동생 폭로소매치기 '헤드록' 제압한 할머니…가방 찾아 유유히 술집으로선미, 걸친 것만 '4621만원'…관능적인 패션 "어디 거?"
김주현 기자 nar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