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테슬라' 루시드가 수퍼차저를 만들지 않는 이유[TNA]

2021. 2. 28.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슬라가 수퍼차저를 만든 이후 새로 전기차를 만드는 업체들은 고유의 충전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당연시 돼 왔다.

그러나 '제2의 테슬라'로 불리는 루시드는 자체 충전 네트워크를 만들지 않을 계획이다.

테슬라가 자체 충전 규격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루시드는 오픈소스 형태의 CCS 콤보 커넥터를 채용할 방침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용 충전 네트워크는 막대한 비용 필요"
일렉트리파이 아메리카 등 공용 충전 시스템 활용
루시드 전기차 차량이 2017년 미국 뉴욕국제오토쇼에 전시돼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테슬라가 수퍼차저를 만든 이후 새로 전기차를 만드는 업체들은 고유의 충전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당연시 돼 왔다. 그러나 '제2의 테슬라'로 불리는 루시드는 자체 충전 네트워크를 만들지 않을 계획이다.

미국 증시 상장을 앞두고 있는 루시드는 루시드 인베스터 덱을 통해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의 개척자로서 수퍼차저 네트워크를 만들 수 밖에 없었지만 이는 매우 자본 소모적인 일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루시드는 이미 일렉트릭파이 아메리카(Electrify America) 프로젝트가 진행중이기 떄문에 우리의 돈을 투자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루시드의 차량은 첫 1년 간 일렉트리파이 아메리카 충전소에서 무료로 충전할 수 있을 예정이다.

테슬라가 자체 충전 규격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루시드는 오픈소스 형태의 CCS 콤보 커넥터를 채용할 방침이다. 이 충전 시스템은 차지포인트(ChargePoint)나 이브이고(EVgo) 등 다른 충전 시스템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테슬라는 400V(250㎾) 충전기에 의존하는 반면, 루시드는 900V(350㎾) 충전 시스템을 이용해 보다 빨리 충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가 이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투자가 불가피하다.

루시드는 향후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을 가정이나 상업시설 등에 판매할 계획이다. 항공기나 군, 중공업, 농수산 용 기계에도 배터리를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