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임 상한의 ⅓인 항공권값,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후에는?

최평천 2021. 2. 28.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통합 이후 국제선 항공권 가격 인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운임 제한으로 통합 항공사가 가격을 인상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실제 항공권 가격은 운임 상한의 30% 수준에 불과해 운임 상한제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한제 '유명무실'해 통합후 가격 인상 우려 여전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 추진(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통합 이후 국제선 항공권 가격 인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운임 제한으로 통합 항공사가 가격을 인상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실제 항공권 가격은 운임 상한의 30% 수준에 불과해 운임 상한제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실에 따르면 양대 항공사 통합에 따라 독과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주 5개 노선을 분석한 결과 대한항공 항공권 최저가는 국토부가 정한 운임 상한의 31~4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점유율이 대한항공 64%, 아시아나항공 36%인 인천~뉴욕 노선은 이코노미 기준 운임 상한이 476만9천원인데, 이달 21일 기준 최저가는 170만600원이다.

인천~LA는 운임 상한 349만2천원에 최저가 140만600원, 인천~시애틀은 349만2천200원에 109만600원, 인천~애틀랜타는 476만9천원에 200만6천900원, 인천~시카고는 460만5천700원에 155만6천900원이다.

미국 델타항공이 운항하는 인천~시애틀·애틀랜타를 제외한 3개 노선은 양사 항공사의 점유율이 100%다. 델타항공이 대한항공과 조인트 벤처(JV) 제휴 맺었기 때문에 나머지 노선도 사실상 독과점으로 분석된다.

항공사들은 일반적으로 정가를 운임 상한에 가깝게 책정하고 각종 할인가를 적용해 항공권을 판매한다.

운임 상한이 실제 항공권 가격보다 3배가량 높기 때문에 운임 상한제가 항공사가 가격을 인상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은 아니라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대한항공이 할인율과 구간별 좌석 수 조정을 통해 운임 인상을 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이미 대한항공은 지난해 12월 추가 요금을 내고 비상구 좌석 등을 선점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석 차등 요금제를 도입했다. 일각에서는 차등제를 통해 사실상 운임을 인상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울러 산업은행과 대한항공 지주사인 한진칼이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해 맺은 투자합의서에 운임 인상을 제한하는 내용이 담겼지만, 산은이 지분을 매각한 이후에는 이러한 '안전장치'가 전무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은은 통합 항공사 출범 후 2년 뒤 한진칼 지분 매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한항공과 국토교통부는 모두 운임 인상 가능성에 대해 선을 긋고 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해 11월 "절대로 고객 편의 (저하), 가격 인상 이런 것은 없다"고 밝혔고,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은 장관 청문회 답변을 통해 "행정지도 등을 통해 합리적인 수준으로 운임이 책정되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대한항공의 기습적인 운임 인상에 대비하기 위해 노선, 시기, 항공사별 실시간 시장운임 동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과 국제선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박 의원은 "독과점 노선에서 대한항공이 사실상 가격결정권을 가지는 셈"이라며 "운임 상한제만으로는 통제가 불가능하므로 국토부 차원의 시장가격 조사·분석과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c@yna.co.kr

☞ '학폭 논란' 스트레이키즈 현진, 결국 활동 중단
☞ '기성용 초등 성폭력' 폭로 변호사 "증거 조만간 공개"
☞ 레이디가가, 납치된 반려견 되찾아…현상금 5억 주나?
☞ '소림축구 출연' 홍콩 영화배우 우멍다 간암으로 사망
☞ 머리손질에 강력접착제 쓴 美 흑인여성 수술받고 회복
☞ [OK!제보] 알바 교육기간엔 무급?…여전한 불법성 갑질
☞ 얼음 속 동생 살리고 숨진 누나…그 소녀 구하다 경찰도 사망
☞ 홍준표, 이재명에 "양아치 같은 행동…진중하게 처신하라"
☞ 타이거 우즈 사고 왜? 제네시스 GV80 블랙박스 주목
☞ 한국에도 등장한 '세 손가락' 저항…SNS 확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