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 EU, '탄소 국경세' 도입 추진..돌파구는?

임태우 기자 2021. 2. 26. 21: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근 미국에 불어닥친 기록적인 한파를 비롯해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실제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데요, 미국과 유럽에서는 탄소 배출 기업에 관세를 매기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와 기업은 어떻게 돌파구를 찾고 있는지, 임태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대차가 찾고 있는 탄소 저감 실마리는 '수소'입니다.

울산공장 근처 화학단지에서 나오는 수소를 활용해 연간 8천MWh 전력을 만들 수 있는데, 석탄 화력 대비 7천900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이현섭/현대차 커뮤니케이션센터 상무 :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는 등 다가오는 미래 사업 환경에 대비하고자 합니다.]

석유화학업계는 사탕수수를 원료로 한 친환경 페트병 생산에 나섰습니다.

석유로 만들 때보다 이산화탄소가 20% 덜 나와 탄소중립 추세에 부응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들이 탄소 저감에 힘쓰는 이유는 갈수록 강력해지는 환경 규제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트럼프가 탈퇴해 주춤했던 파리기후협약은 친환경을 강조하는 바이든 정부의 재가입으로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과 유럽은 탄소 배출 기업에 대한 관세, 이른바 '탄소 국경세' 도입까지 논의하고 있는데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은 수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석유화학 기업은 수출액의 5%를, 철강은 10%까지 탄소 국경세를 부담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박영석/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수출지향적인 우리 산업구조상 미국과 유럽에서 탄소 국경세를 부과한다면 우리는 어차피 그쪽에 지불하는 분명한 액수가 있을 것이고….]

최근에는 탄소 저감 성과가 한 나라의 국격이나 대외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며 국가 간 경쟁으로 발전하는 양상입니다.

(영상편집 : 이소영)

임태우 기자eigh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