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스마트시티로의 대대적 전환 추진

대구CBS 류연정 기자 2021. 2. 26. 1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시가 스마트시티로의 대대적 전환을 추진한다.

대구시는 26일 스마트시티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하고 관련 사업과 목표를 소개했다.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을 이끌 세 번째 축은 데이터 허브 조성이다.

보고회에 참석한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 자체가 혁신의 플랫폼이 될 것이며, 가까운 미래에는 많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이 성장하는 살기좋고 똑똑한 도시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시가 스마트시티로의 대대적 전환을 추진한다.

대구시는 26일 스마트시티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하고 관련 사업과 목표를 소개했다.

계획에 따르면 시는 스마트시티로 거듭나기 위해 2023년까지 국, 시비 등 총 965억원을 투입한다.

핵심 사업은 인공지능(AI) 기반의 교통 체계 마련이다.

총 250여개 교차로에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카메라가 교통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면 인공지능이 이를 분석해 교통 흐름에 맞는 신호등 신호 주기를 찾아주는 방식이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교차로 혼잡도와 보행자 교통사고를 15%씩 감소하고 연간 총 차량 운행비 113억원과 시간비용 337억원, 환경비용 23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는 1차적으로 33개 교차로에 시스템 구축을 목표하고 있다.

또 다른 대표 사업으로는 '원(one) 네트워크 구축'이 있다.

사물인터넷(IoT) 무선망과 통신사 연계 공공와이파이, 자가광 통신망 세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이른바 '삼중 촘촘망' 구축하겠다는 내용이다.

다양한 공공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가공하기 위함으로 이를 통해 상수도 원격검침, 가로등 무인관리 등 행정, 교통, 방범 같은 공공 서비스 관리가 용이해지고 막대한 비용 절감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올해는 IoT 서비스망과 생태계 구축, 노상주차장 모니터링과 대기오염 관리 등 대시민 서비스 실시를 이루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을 이끌 세 번째 축은 데이터 허브 조성이다.

하반기 수성 알파시티에 스마트 비즈니스센터를 구축하고 그 안에 통합운영센터를 조성하는 작업이다.

산재돼 있는 지역 관련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융, 복합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보고회에 참석한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 자체가 혁신의 플랫폼이 될 것이며, 가까운 미래에는 많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이 성장하는 살기좋고 똑똑한 도시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대구CBS 류연정 기자] mostv@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