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재건을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부산항 신항 운영통합

부산CBS 조선영 기자 2021. 2. 26. 11: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BPA)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부산항 신항 운영 통합작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빚어지자,부산항만업계에서는 해양수산부와 BPA가 추진하는 운영통합이 과연 누구를 위한 통합이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해운재건의 핵심정책으로 국적 터미널 육성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로 했으나 운영통합이라는 이유로 국적터미널 고사정책을 들고 나왔다는 주장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자수첩]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 (HJNC)임직원들이 부산항신항 운영통합 시기조정을 요구하며 부산항만공사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HJNC제공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BPA)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부산항 신항 운영 통합작업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부산항만공사가 오랜 준비끝에 올해 초 3단계에 걸친 통합계획을 내놓았다.

1단계 대상인 신항 1부두(PNIT;부산신항국제터미널)와 4부두(HPNT;에이치엠엠피에스에이 신항만)가 운영통합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BPA는 두 터미널의 운영통합에 대한 인센티브로 1년동안 임대료 15%감면과 BPA소유의 다목적부두(BNMT)를 제공하는 '당근'을 제시했다.

이에 PNIT와 HPNT 두 터미널을 운영하는 PSA(싱가포르항만공사)와 HMM(옛 현대상선)은 운영통합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춰 신항에 기항하는 3대 글로벌 얼라이언스 중 '디 얼라이언스'와 조만간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전해졌다.

두 터미널 운영사가 계약을 마무리하면 신항 물량의 연쇄 이동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3대 글로벌 얼라이언스 중 또 다른 얼라이언스인 2M(머스크,MSC)이 다른 터미널로 물량을 옮길 가능성이 높다.

알려진 바로는 2M이 HJNC(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에서 인근 2부두 PNC(부산신항만주식회사)로 물량을 옮길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이렇게 되면 HJNC는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으로 내 몰리게 된다.

HJNC는 2M의 물량이 빠져나가면 연간 물동량이 295만 TEU에서 171만 TEU로 100만 TEU이상 감소한다는 주장이다.

물동량이 100만 TEU이상 줄어들면,연간 150억 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해 문을 닫게 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고, 그 여파로 인한 대규모 인력감축도 걱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HJNC임직원은 해양부산부와 BPA에 공문을 보내고 3일째 BPA앞에서 집회를 갖는 등 운영통합 연기를 촉구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빚어지자,부산항만업계에서는 해양수산부와 BPA가 추진하는 운영통합이 과연 누구를 위한 통합이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먼저,해운재건이라는 이름으로 추진중인 운영통합이 오히려 HJNC와 같은 국적 운영사를 고사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며 반기를 들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해운재건의 핵심정책으로 국적 터미널 육성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기로 했으나 운영통합이라는 이유로 국적터미널 고사정책을 들고 나왔다는 주장이다.

특히 PSA와 HMM측에 다목적 부두를 제공하기로 한 것은 중소형 국적선사에게 갈 길을 잃게 만드는 '최고이 악수'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 PSA와 HMM이 다목적 부두를 CY(컨테이너야적장)으로 사용할 경우,다목적부두에 근무하는 임직원들은 실직을 하게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일자리 창출이 절체절명의 과제인 중차대한 시기에 외려 일자리를 없애는 정책이 과연 해운재건이 맞느냐는 것이다.

BPA는 2018년 다목적부두(BNMT)에 대해 중소 국적선사의 안정적인 선석 확보를 이유로 BNCT와 같은 방식으로 운영에 들어갔다.

당시 BPA관계자는 "한진해운 사태이후 해양수산부의 해운재건 노력이 뒷받침 되면서 BNMT안벽 400미터를 컨테이너 기능으로 전환했다"고 공언했다.

그리고 "BPA가 국적 아시아 역내 선사들을 위해 피더전용부두로 육성할 것"이라며 청사진도 제시했다.

하지만 그런 청사진이 3년만에 뒤집힌 것으로 정책의 일관성은 물론 신뢰성까지 훼손한 것이다.

여기에다 외국적 선사인 PSA측에 다목적부두를 내 주는 것은 국적터미널 육성이라는 근간을 흔드는 행위이자 특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때문에 신항 일각에서는 해양수산부와 BPA가 외국계 자본에 또다시 휘둘리고 있다는 비난이 터져 나오고 있다.

결과적으로 신항 운영통합이라는 성과에만 급급해 국적터미널 운영사를 벼랑끝 위기로 내몰고,국적 중소선사의 보금자리(다목적터미널)을 빼앗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수조원의 국민혈세를 투입한 해운재건의 근간도 송두리째 흔들면서...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부산CBS 조선영 기자] sycho@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