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ater fool theory (KOR)

2021. 2. 25. 20: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만유인력으로 현대 물리학의 근간을 세운 아이작 뉴턴은 25년간 영국 왕립 조폐국장(1699~1724년)으로 일하면서 열심히 주식에 투자했다.

튤립과 더불어 경제사에 대표적인 거품사건으로 기록된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에 투자하면서다.

부동산이나 주식이 비정상적으로 올라도 계속 사들이는 투자 심리를 설명하는 말이다.

투자자들이 나보다 더 비싼 값에 자산을 사려는, '더 큰 바보'가 나올 것이라고 믿는다는 것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saac Newton, who built the foundation of modern physics with universal gravitation, worked as the Master of the Royal Mint for 25 years from 1699 to 1724 and invested in..

JANG JOO-YOUNG The author is an EYE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Isaac Newton, who built the foundation of modern physics with universal gravitation, worked as the Master of the Royal Mint for 25 years from 1699 to 1724 and invested in stocks. But in his later years, he lost 90 percent of his fortune after investing in the South Sea Company, one of the largest bubbles in the economy along with tulips. The failure of the prominent scholar was a shock to people at the time. “I can calculate the motions of the planets, but I cannot calculate the madness of men,” said Newton, as some attribute.

Economist John Maynard Keynes proposed the “greater fool theory” to explain the investment mentality of continuing to buy unreasonably expensive real estate and stocks. Investors believe that “greater fools” will appear to buy their assets at higher prices. Newton was one of them. He was waiting for a greater fool to buy his plummeting stocks. In the end, he had to accept the painful reality that he was the greatest fool.

Cryptocurrency bitcoin is garnering attention. Last year, bitcoin was priced under $30,000 per share, and it surged fiercely. On Feb. 16, it surpassed $50,000 for the first time, and the market cap exceeded $1 trillion. Then an unexpected variable came up. U.S. Secretary of Treasury Janet Yellen said on Feb. 22 that bitcoin was a highly speculative asset. Tesla founder Elon Musk, who fanned the bitcoin craze, took a step back and said that the price was too high. With their comments, bitcoin stocks fell by two digits, and the $50,000-dollar ceiling collapsed.

Is this the end of the bitcoin boom? During the first boom four years ago, Bill Gates said that bitcoin only works with the greater fool theory, and he would sell off all of his. In a recent interview, he said he was neutral to bitcoin, but on the nosediving prices, he once again criticized that investors were in a craze.

It is hard to predict the future of bitcoins. But its structural weakness is that the price is set based on the trust of the people selling and buying. Greater fools who are willing to buy bitcoins at a higher price should continue investing. It is hard to predict when this belief will end. Not even Newton could say.

더 큰 바보 장주영 EYE팀 기자

만유인력으로 현대 물리학의 근간을 세운 아이작 뉴턴은 25년간 영국 왕립 조폐국장(1699~1724년)으로 일하면서 열심히 주식에 투자했다. 하지만 말년에 재산의 90%를 탕진하고 만다. 튤립과 더불어 경제사에 대표적인 거품사건으로 기록된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에 투자하면서다. 당대 석학의 실패는 사람들에게도 충격이었다. “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었다”는 출처 불명의 말이 뉴턴 어록으로 회자할 정도였다.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더 큰 바보 이론(the greater fool theory)‘을 제시했다. 부동산이나 주식이 비정상적으로 올라도 계속 사들이는 투자 심리를 설명하는 말이다. 투자자들이 나보다 더 비싼 값에 자산을 사려는, ’더 큰 바보‘가 나올 것이라고 믿는다는 것이다. 뉴턴도 그랬다. 폭락하는 주식을 손에 쥐고 더 큰 바보를 애타게 기다렸다. 그러다 결국 자신이 가장 큰 바보였다는 현실을 고통스럽게 받아들여야 했다.

암호화폐 비트코인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3만 달러를 밑돌던 비트코인 값은 무서운 속도로 치솟았다. 이달 16일 처음으로 5만 달러를 넘었고, 시가총액도 1조 달러(약 1100조원)를 돌파했다. 그러다 최근 돌발변수를 만났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22일 “비트코인은 매우 투기적인 자산”이라며 찬물을 끼얹은 것이다.

비트코인 열풍에 불을 지핀 테슬라 창업자 일런 머스크조차 “너무 값이 오르긴 했다”고 슬쩍 한발을 뺐다. 두 사람의 말에 비트코인은 두 자릿수 이상 폭락하며 5만 달러 선이 무너졌다. 비트코인의 열풍은 여기까지일까. 4년 전 1차 열풍 당시 빌 게이츠는 “비트코인은 ‘더 큰 바보’ 원리로만 작동된다”면서 “나라면 모두 팔아치울 것”이라고 했다. 얼마 전 언론 인터뷰에선 “나는 비트코인에 중립적”이라고 다소 누그러진 입장을 보였지만, 폭락 소식에는 “투자자들이 광풍에 휩싸여 있다”며 다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비트코인의 미래를 속단하긴 어렵다. 다만 사고파는 사람의 믿음에 의존해 값이 정해진다는 점은 구조적 약점이다. 나보다 비싼 값에 비트코인을 기꺼이 사려는, 믿음 충만한 더 큰 바보가 계속 나와야 한다. 믿음이 사라질 시기를 예측하긴 어렵다. 뉴턴도 못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