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품 구독 시대..월 10만원이면 평범한 거실이 갤러리로

조수영 2021. 2. 25.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콕 길어지자 집꾸미기 관심 급증
미술품 렌털 제공하는 '오픈갤러리'
월 3만원부터..작품 구매도 가능
그림 구독 서비스 '핀즐' 2030 인기


최근 오피스텔로 독립한 직장인 김재연 씨(35)의 가장 큰 관심은 그림이다. 나만의 공간을 꾸미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지만 집 분위기와 고급스러움을 결정하는 것은 그림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산이 발목을 잡았다. 그림이 공간을 멋지게 꾸며줄 뿐만 아니라 훌륭한 재테크 수단이라는 것도 알지만 평범한 30대 직장인인 그에게는 진입장벽이 너무 높았다.

‘그림은 역시 다른 세상의 일인가’ 하고 체념하려던 때에 그림 렌털, 구독 서비스를 알게 됐다. 월 10만원이면 국내 신진 작가의 원화를 걸어둘 수 있고, 2만원 안쪽이면 해외 신진 작가의 프린트본을 받아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김씨는 “내 안목에 자신감이 생길 때까지 렌털 서비스를 활용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미술 시장에 대한 2030세대의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미술품을 렌털하거나 구독하는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부담이 적은 금액으로 미술품 소비를 경험할 수 있어서다.

2030세대가 미술에 관심을 두는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져서다. 그림 구독 서비스 업체 핀즐의 진준화 대표는 “코로나19 이후 이용자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며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공간을 멋스럽게 꾸미고 싶은 욕구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SNS도 이들을 그림시장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기존의 미술 큰손들은 대부분 그림을 소장하고 혼자 즐겼다. 하지만 2030세대는 일상에서 즐기고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로 그림을 소비한다. 인스타그램 등에는 집을 예쁘게 꾸민 사진을 당당하게 올려 자랑하는 ‘집스타그램’이 넘쳐난다. ‘벽에 그림 한두 점은 걸려 있어야 폼이 난다’는 인식이 빠르게 퍼진 이유다.


렌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업체는 오픈갤러리다. 국내 신진 작가를 발굴해 작품을 확보하고 고객에게 그들의 원화를 3개월 단위로 빌려준다. 정수기, 비데에서 주로 사용되던 렌털 모델을 미술시장으로 가져온 셈이다. 이용금액은 월 3만원대 후반부터 가능하지만 10만원대 상품이 가장 인기가 많다. 렌털 뒤 작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용자의 90%가 개인, 이 중에서도 20~40대 여성이 80%다. 박의규 오픈갤러리 대표는 “아름다움에 대한 소비를 꺼리지 않는 사람들”이라며 “‘술자리 한번에 10만원 정도 쓴다는 걸 감안하면 렌털 비용이 비싸지 않다’는 고객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시장 반응도 좋다. 오픈갤러리의 지난해 하반기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4.75%, 주문 건수는 26.6% 늘었다. 원화를 다루기 때문에 배송, 설치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주문이 들어오면 작가에게 작품을 받아 검수를 거친다. 전담 기사가 배송, 설치까지 마무리하기 때문에 주문에서 작품을 받아보기까지 최대 3주가 걸린다.

핀즐은 그림 구독 서비스를 제공한다. 3~6개월 단위로 해외 신진 작가들의 프린트, 포스터 작품을 받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판화 리미티드 에디션(한정판)도 서비스하고 있다. 첫 구매고객에게 전용 액자까지 제공해 표구의 번거로움을 덜어준 것도 장점이다. 진 대표는 “이용자는 1000명을 웃도는 수준인데 이 가운데 80% 이상이 2040세대 개인이용자”라고 소개했다.

핀즐은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외국 작가 작품을 서비스한다. 인스타그램 등에서 작품과 대중의 반응을 살펴 섭외한다. 이들에게 양도받은 저작권으로 국내에서 프린트본을 제작해 구독 서비스를 제공한다. 작가로서는 한국 시장에 자신을 소개하고, 핀즐은 차별화된 작가풀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 현재 핀즐은 전속작가 40명, 작품 저작권 800개를 확보하고 있다. 부담 없는 금액에 미술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서비스지만 주의할 점도 있다. 말 그대로 잠시 대여한 것이기 때문에 작품 훼손 시 책임청구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