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상생형 일자리 사업에 부산시 선정..미래차 산업 육성 추진

박채오 기자 2021. 2. 25. 16: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에 '부산형 일자리' 모델이 선정되면서 미래차 산업 육성을 위한 초석을 다지게 됐다.

부산시는 25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열린 상생형 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 결과 '부산형 일자리' 모델이 상생형 지역일자리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정부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지역 노사민정이 상생협약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면 정부와 지자체가 행‧재정 패키지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부품기술허브센터 건립 등 정부 인센티브 3771억
부산형 일자리 미래차부품단지 조감도(부산시 제공) © 뉴스1

(부산=뉴스1) 박채오 기자 = 정부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에 '부산형 일자리' 모델이 선정되면서 미래차 산업 육성을 위한 초석을 다지게 됐다.

부산시는 25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열린 상생형 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 결과 '부산형 일자리' 모델이 상생형 지역일자리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정부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지역 노사민정이 상생협약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면 정부와 지자체가 행‧재정 패키지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이다.

시가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인센티브는 전기차 부품기술허브센터 건립,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설비투자금 우대, 산단형 공공임대주택 건립비로서 총 3771억원에 달한다.

또 정부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관련 사업 우대정책에 따라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조성비 128억원이 올해 상반기에 추가로 확정될 전망이고 시가 준비 중인 전기차 수출기반 디지털 물류센터 구축, 근로자 출퇴근용 통근버스 지원, 공동직장어린이집 설치 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부산형 일자리는 ㈜코렌스 EM(E-Mobility)을 비롯한 협력사 20여개 기업이 미래차부품단지를 조성하고 2030년까지 전기차 구동유닛 500여만 대를 생산하는 사업이다.

부산 신항만과 인접한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 26만4462.81㎡ 부지에 7600억원을 투자해 4300명의 고용을 창출할 계획으로 글로벌 TOP3 미래차부품 생산기지 건설을 목표로 한다.

단지 내에서만 연간 3조원의 달하는 지역내총생산(GRDP)이 창출될 전망이며 생산제품은 상당수 해외 완성차업체에 수출할 계획이므로 제조 공장들이 본격 가동되는 2024년에는 세수, 수출, 항만 물동량의 비약적인 증가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부산형 일자리는 노사 간의 신뢰와 협력 속에 ㈜코렌스 EM과 협력기업이 협업해 전기차 구동유닛을 생산하고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해 동반 성장하는 '노사 및 원‧하청 기술상생 모델'을 전국 최초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코렌스 EM이 올해 3월부터 생산하게 될 전기차 구동유닛은 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배터리와 함께 미래차 핵심부품에 속한다. 일본,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활발하며 900여 개의 부품이 조합되는 기술집약적인 제품이다.

또 코렌스 EM은 이를 위해 2023년까지 510명을 고용할 계획이며, 기술경쟁력 조기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직 370명(73%), 사무·영업직 60명(12%), 생산직 80명(15%)을 전원 정규직으로 채용한다. 오는 2024년부터는 사무‧영업직과 생산직을 중심으로 하여 2030년까지 12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이병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그동안 부산형 일자리에 쏟아온 노력이 소중한 결실을 맺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시는 부산형 일자리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으며 미래차산업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여 부산의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밝혔다.

che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