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10년간 인구소멸위험지역 '4→16곳' 늘었다

박미라 기자 2021. 2. 24. 20: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입 늘었지만 지역별 불균형

[경향신문]

최근 10년간 제주 전체 인구는 늘었지만 ‘소멸위험지역’이 늘어나는 등 제주 안에서 지역 간 인구 불균형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고태호 제주연구원 연구위원이 분석한 ‘제주 읍·면·동 지역 인구분석 및 대응방안’을 보면 제주 인구는 2010년 57만1255명에서 2019년 67만989명으로 늘어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1.8%로, 전국(0.3%) 대비 1.5%포인트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자연적 증가보다는 다른 지역에서 제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 실제 2010년부터 ‘제주 이주 열풍’이 불면서 순이동인구(전입인구-전출인구)는 2010년 437명, 2013년 7823명, 2016년 1만4632명, 2019년 2936명이었다.

하지만 신규 주택단지가 조성된 지역에 인구가 몰리거나 특정 지역을 선호하는 현상 등으로 지역 간 불균형은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2010년 기준 인구소멸위험지역은 4곳(우도면·한경면·구좌읍·추자면)이었으나 2019년에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구도심 지역과 남원읍, 성산읍, 한림읍 등이 포함되면서 16곳으로 늘었다. 인구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인구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그 값이 낮을수록 인구소멸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고 연구위원은 “핵심생산인구가 중심을 이룬 정착주민의 경우 주로 제주시 동지역과 인접한 애월읍·조천읍, 영어교육도시가 있는 대정읍,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신규 주택단지 조성지역, 혁신도시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이 전입했고, 이들 지역 상당수는 소멸위험지역에서 피해갔다”며 “자연증가에 의한 인구 조절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핵심생산인구의 전입 유도와 정착 지원이 실질적인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핵심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미라 기자 mr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