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12km 서남권 최대 신도시..2023년 사전청약

손동우,유준호 2021. 2. 24. 16: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 부동산대책 후속조치
MB정부때 보금자리 지정후
주민 반발로 해제되며 표류
돌고돌아 11년만에 신도시로
부산 1.8만·광주 1.3만가구
광역시도 중규모 택지 지정
2차 신규택지는 4월중 발표

◆ 광명·시흥 7만가구 공급 ◆

정부가 6번째 3기 신도시로 지정한 경기도 광명시흥지구는 그동안 신도시 후보가 거론될 때마다 '0순위'로 꼽히던 곳이다. 광명시흥은 2010년 이명박정부 시절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다가 2015년 주민 반발로 지구 지정이 해제됐다. 이후 문재인정부 들어 신도시 공급계획이 발표될 때마다 신규 택지 유력 후보지로 꼽혀 왔다. 결국 이번 정부 발표를 통해 '만년 후보지'에서 '3기 신도시 최대 택지'로 11년 만에 다시 빛을 보게 됐다.

24일 윤성원 국토교통부 1차관은 2·4대책 1차 신규 공공택지 입지를 발표하면서 "수도권은 서울 인근 서남부권의 주택공급 및 기존 신도시 입지 등을 고려해 광명시흥지구를 6번째 3기 신도시로 선정했다"며 "현재 3기 신도시가 서울 서남부에는 큰 것이 없는데, 광명시흥은 서울과 근거리에 있어 좋은 입지라고 판단했다"고 신도시 지정 배경을 설명했다.

6번째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광명시흥지구는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옥길동, 노온사동, 가학동과 시흥시 과림동, 무지내동, 금이동 일대다. 광명시흥 신도시는 1271만㎡ 규모에 총 7만가구가 공급된다. 3기 신도시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가구 공급 물량도 가장 많을 뿐 아니라 동탄2(2400만㎡), 분당(1960만㎡), 파주 운정(1660만㎡), 일산(1570만㎡), 고덕국제화(1340만㎡) 등 1·2기 신도시를 포함해도 역대 6번째 규모다.

이번 광명시흥 신도시 추가 지정으로 3기 신도시는 수도권 서쪽으로 무게추가 쏠리게 됐다. 지금까지는 남양주 왕숙(6만6000가구), 하남 교산(3만2000가구) 등 서울 동쪽에 조성되는 3기 신도시의 공급 물량이 고양 창릉(3만8000가구), 인천 계양(1만7000가구), 부천 대장(2만가구) 등 서울 서쪽에 조성되는 물량보다 많았다. 광명시흥 신도시가 들어서면 수도권 서쪽 지역에 12만5000가구, 동쪽 지역에 9만8000가구가 공급된다.

광명시흥은 대규모 택지 공급이 가능한 데다 서울 여의도에서 12㎞ 거리, 서울시 경계에서 최단 거리 1㎞로 서울 주택 수요 흡수가 가능한 곳이다. 특히 광명은 경기도지만 지역 전화번호 '02'를 쓰는 만큼 서울과 사실상 같은 생활권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광명시흥이 신도시 만년 후보지라는 오명을 벗기까지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광명시흥은 2010년 이명박정부 시절 보금자리주택지구(9만5000가구)로 지정됐다가, 주택시장 침체와 주민 반발로 2015년 지구 지정이 해제됐다. 이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됐으나 개발이 장기 표류 상태에 놓여 있었다. 이후에도 '3기 신도시 1순위' 후보로 계속 언급됐지만 실제 발표 때마다 제외됐다. 2019년 구로차량기지 이전을 둘러싸고 광명시와 국토부가 대립각을 세운 데다 3기 신도시 개발 계획 발표 전 택지 정보가 사전에 유출되면서 잡음이 생겼다. 실제 인근 광명뉴타운 등 한창 새로운 도시로 거듭나며 집값도 오르고 있는 지역에선 신도시 지정으로 인한 '물량 폭탄'과 '교통 혼잡' 등이 예상되는 데 대해 반발이 꽤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이날 국토부가 발표한 교통대책이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과 함께 향후 신도시가 실제 확정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정부는 광명시흥 신도시에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인 380만㎡의 공원·녹지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날 정부는 부산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 중규모 신규 택지를 지정하기로 했다. 부산 대저지구(243만㎡)는 부산 강서구 대저동 일대에 조성돼 1만8000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게 된다. 대저지구는 조선해양플랜트를 중심으로 한 첨단 연구단지인 부산연구개발특구에 배후 주거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구 내 부산김해경전철 역사를 신설하고, 명지국제신도시와 에코델타시티를 경유하는 강서선(트램)이 확정될 경우 지구 내 정거장을 신설해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광주 산정지구(168만㎡)는 광주시 광산구 산정동·장수동 일대에 조성되는 택지로, 1만3000가구의 주택이 공급된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연계한 빛그린산단 등 근로자를 위한 양질의 주거지를 공급하고 스마트 물류와 청년창업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정부 목표다. 정부는 2·4대책을 통해 도심권에 모두 83만600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는데, 그중 신규 공공택지에서 나오는 물량은 26만3000가구(수도권 18만가구 등)다. 이날 발표된 광명시흥과 부산 대저, 광주 산정지구는 그중 첫 번째 물량이다. 정부는 1차 발표 지구 외 나머지 신규 공공택지 입지(15만가구)는 4월께 공개할 예정이다.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