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흥 '또' 신도시 개발.. 집값 안정 효과 있나

김노향 기자 2021. 2. 24. 1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24일 광명시흥·부산대저·광주산정지구 3개 신규 공공택지를 지정해 총 10만1000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사전청약과 분양, 착공, 입주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 무주택자의 주거불안을 진정시킨다는 계획이다.

광명·시흥 지구에선 7만가구의 신규 주택이 공급된다.

━부산대저·광주산정 지방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부산대저지구(243만㎡)와 광주산정지구(168만㎡)는 각각 1만8000가구, 1만3000가구가 공급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명·시흥지구는 1271만㎡ 규모로 서울 여의도 면적의 4.3배에 이른다. 3기신도시 남양주 왕숙(1134만㎡) 고양창릉(813만㎡) 하남교산(649만㎡) 부천대장(343만㎡) 인천계양(335만㎡) 중에서 가장 넓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뉴시스
정부가 24일 광명시흥·부산대저·광주산정지구 3개 신규 공공택지를 지정해 총 10만1000가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사전청약과 분양, 착공, 입주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 무주택자의 주거불안을 진정시킨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광역교통대책을 수립해 서울과의 출퇴근 거리를 단축시키고 수요 분산의 성공을 기대했지만 집값 안정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긴 힘들 것이란 전망도 있다.

광명·시흥지구는 1271만㎡ 규모로 서울 여의도 면적의 4.3배에 이른다. 기존 발표된 3기신도시 남양주 왕숙(1134만㎡) 고양창릉(813만㎡) 하남교산(649만㎡) 부천대장(343만㎡) 인천계양(335만㎡) 중에서 가장 넓다. 광명·시흥 지구에선 7만가구의 신규 주택이 공급된다. 서울과 직선거리 1㎞로 광역교통대책이 완료되면 출퇴근 접근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게 국토교통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도시를 관통하는 남북 도시철도를 연결해 1호선, 2호선, 7호선, 신안산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 제2경인선 등을 연결한다는 방침이다. 김규철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철도를 중심으로 기반시설을 갖춰지면 서울 수요를 흡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대저·광주산정 지방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부산대저지구(243만㎡)와 광주산정지구(168만㎡)는 각각 1만8000가구, 1만3000가구가 공급된다. 부산대저지구는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연계, 연구개발특구 인근 15만㎡ 자족용지를 배치해 특구기능을 강화한다. 지구 내 부산김해경전철 역사와 강서선 트램 정거장 신설 등을 통해 대중교통체계도 구축한다. 이외에도 대저로 확장, 평강로 확장 등도 추진해 원활한 도로교통 체계를 마련한다.

광주산정지구에는 '광주형 일자리사업'과 연계해 빛그린산단 등의 근로자를 위한 양질의 주거지를 제공하고, 스마트 물류, 청년 창업 플랫폼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38만㎡의 공원·녹지 조성, 자연 순응형 특화설계, 에듀파크 조성 등으로 자연친화적인 주거환경도 만든다. 도심 연결도로 신설, 손재로 확장 등을 통해 도심 접근성을 강화하고 송정역,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등 주요 환승 거점 간 버스 연계체계도 마련한다.

정부는 1차 지구에 대해 2023년부터 사전청약을 실시하기로 했다. 2025년부터 분양하고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지구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번 신규택지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지난 23일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고, 25일 공고된다. 다음달 2일 발표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상거래 등 투기 수요에 대해선 실거래 기획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실수요자의 선호가 기대되는 한편 집값 안정 효과는 나타나기가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기존 발표된 3기신도시의 택지보상 문제 등 진척사항이 가시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단기적인 시장안정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기존의 공공택지 개발과 비교해 주요기능이 복합적으로 담겨져 수요자들이 선호할 수 있지만 공급이 가시화되기 전까지 임대차시장 불안은 지속될 것이므로 빠른 대응과 신뢰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머니S 주요뉴스]
지디♥제니 1년째 열애중… 디스패치가 또?
조이, 슬립 원피스에 드러난 치명적 몸매
"공주가 따로없네"… '볼빨간' 제니, 럭셔리하네
"너무 마른 거 아냐?"… 권민아 상반신 노출 '충격'
"다크 엔젤 실사판?"… 한예슬, 과감한 포즈도 'OK'
박혜수 학폭 폭로자, 뒤늦게 정정 나선 이유
존리 대표, 부자 되려면 '이것' 끊어라?
구혜선 나이 '주목'… "이혼? 중요한 일 아니다"
추신수, 신세계 야구단에서 뛴다… 연봉 얼마?
송은이 집 첫 공개… 48년 만에 독립?

김노향 기자 merry@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