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톱랭커 임성재 "사상 두번째 아시안 WGC 챔피언 도전"

김동찬 2021. 2. 24. 14: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성재(23)가 아시아 국적 선수로는 사상 두 번째 월드골프챔피언십(WGC) 우승에 도전장을 던졌다.

임성재는 25일 미국 플로리다주 브레이든턴에서 개막하는 WGC 워크데이 챔피언십(총상금 1천50만 달러)에 출전한다.

그는 대회 개막을 앞두고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WGC는 큰 대회이기 때문에 아시아 선수로는 두 번째로 이 대회에 우승할 수 있다면 좋겠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노력을 많이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성재 [AF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동찬 기자 = 임성재(23)가 아시아 국적 선수로는 사상 두 번째 월드골프챔피언십(WGC) 우승에 도전장을 던졌다.

임성재는 25일 미국 플로리다주 브레이든턴에서 개막하는 WGC 워크데이 챔피언십(총상금 1천50만 달러)에 출전한다.

그는 대회 개막을 앞두고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WGC는 큰 대회이기 때문에 아시아 선수로는 두 번째로 이 대회에 우승할 수 있다면 좋겠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노력을 많이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WGC는 1년에 네 차례 열리는 대회로 총상금이 1천만 달러를 넘는 특급 대회로 분류된다.

PGA 투어와 유러피언투어, 일본프로골프 투어(JGTO), 아시안투어, 남아프리카공화국 선샤인 투어, 호주 PGA 투어 등 세계 주요 6대 투어가 함께 만든 대회다.

'제5의 메이저'로 불리는 플레이어스 챔피언십과 함께 4대 메이저 대회 바로 다음 등급에 해당한다.

WGC가 창설된 1999년부터 지금까지 이 대회에서 우승한 아시아 국적의 선수는 마쓰야마 히데키(일본)가 유일하다.

임성재보다 6살 많은 마쓰야마는 2016년 HSBC 챔피언스와 2017년 브리지스톤 인비테이셔널 등 WGC 대회에서 두 차례 정상에 올랐다.

현재 임성재는 남자 골프 세계 랭킹 17위로 아시아 국적 선수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에 올라 있다. 마쓰야마는 23위다.

임성재의 WGC 역대 최고 성적은 2019년 HSBC 챔피언스 공동 11위다.

임성재는 "이번 대회는 컷 탈락이 없기 때문에 좀 더 공격적으로 경기할 필요가 있다"며 "첫날 좋은 성적을 내면 이후 라운드에서 안전한 경기 운영을 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인 선택지가 넓어진다"고 대회를 앞둔 각오를 전했다.

이번 대회가 끝나면 임성재는 3월 PGA 투어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과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 이어 지난해 우승했던 혼다 클래식에 차례로 나간다.

임성재는 "세계 주요 투어의 톱 랭커들과 경쟁하는 기회인 이번 대회에서 매 샷 집중력을 발휘해 나흘 내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emailid@yna.co.kr

☞ "국대 출신 스타 선수, 초등생 시절 축구부 후배 성폭행"
☞ 우즈 사고차량 '제네시스 GV80'…"내부 멀쩡해 살았다"
☞ '제니-지드래곤 1년째 열애' 가요계 들썩…YG 입장은
☞ 8살·9살 아들 옷 벗겨 야산 방치…알몸으로 내려와
☞ 살해협박 장소 알려줬는데 헤맨 경찰…신고자 사망
☞ 얼굴도 모르는 연인에 다 털렸다…너무 외로웠던 걸까
☞ 프랑스 국민배우 드파르디외, 여배우 강간 혐의로 기소
☞ '이다영 백업→주전' 김다솔, 위기의 흥국생명 구할까
☞ 원로배우 이무정 암투병 중 별세…항년 80세
☞ "때리고 담뱃불로 지지기까지" 또래 집단폭행한 중학생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