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여·야와 車반도체 부족 논의.."반도체 보조금 늘린다"

이정훈 2021. 2. 24. 12: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해 미국 내 완성차업체들의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들과 함께 차량용 반도체 부족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에 재계와 정치권은 미국 정부에 대해 자국 내 반도체 생산업체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 보도..바이든과 민주·공화당 의원 24일 회동
국방수권법 예산 확정.."美 반도체 제조·R&D 지원 확대"
30년새 37%서 12%로 낮아진 美 반도체 제조능력 높일 듯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해 미국 내 완성차업체들의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들과 함께 차량용 반도체 부족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2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바이든 대통령이 하루 뒤인 24일 여야 의원들과 만남을 갖고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최근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미국 정부가 자국 내 반도체 제조업을 지원하기 위해 승인했던 예산을 이번 반도체 부족 사태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의회에 요청한 직후 나온 것으로, 이날 회동에서도 이 이슈가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통과된 연방정부의 2021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 따라 의회는 자국 내 반도체 제조에 투자하는 기업에 연방 보조금을 지원하고 반도체 연구개발(R&D)에 재정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의회는 아직 이 재정 지원 규모를 확정짓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슈머 원내대표는 “조만간 양 당 의원들이 공동으로 이를 위한 법안을 발의할 것”이라며 이렇게 마련된 자금은 반도체산업에 대한 지원 이외에도 5세대(5G) 네트워크와 양자 컴퓨팅, 인공지능(AI) 등에 집중적으로 지원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슈머 원내대표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능력 부족은 우리 경제와 국가 안보에 있어서 매우 취약한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반도체 칩은 자동차뿐 아니라 컴퓨터와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에 모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이다. 반도체 공급 부족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촉발됐다. 팬데믹으로 인해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줄어들자 반도체업체들은 가뜩이나 수익성이 낮은 차량용 반도체 상산라인을 줄이고 서버나 모바일 디바이스, 노트북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 생산을 늘렸다. 다만 이후에 자동차 수요가 가파르게 회복됐는데도 반도체업체들이 이에 제 때 대응하지 못하다보니 수급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포드는 반도체 부족으로 인해 올 1분기에만 자동차 생산량을 최대 20% 줄이기로 했다. 제너럴모터스(GM) 역시 캔자스주, 캐나다, 멕시코 공장에서의 자동차 생산을 줄이고 있다. 다음달 중순 반도체 수급 상황을 반영해 생산 계획을 재검토할 예정이다.

이에 재계와 정치권은 미국 정부에 대해 자국 내 반도체 생산업체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얼마 전에도 미국 자동차와 헬스케어, 통신부문 기업인들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 같이 요구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자동차 반도체 공급이 향후 몇 분기 동안 정상화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정부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해 조만간 바이든 대통령이 공급망 개선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핵심 품목에 대한 공급망 개선을 위한 포괄적인 대책을 검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에 따르면 글로벌 반도체 판매에서 미국 반도체업체 비중은 47%나 되지만, 제조부문에서는 그 비중이 12%로 낮다. 미국 업체들이 판매하는 반도체칩 대부분이 아시아 업체들에 대한 아웃소싱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1990년대만 해도 글로벌 반도체 생산량의 37% 정도가 미국 내에서 생산했었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