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 자급률 15.9%..요원한 '반도체 굴기'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5년 반도체 자급률 70%를 내건 중국의 지난해 자급률이 15%대에 머문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반도체 시장(판매액) 규모는 1430억달러로 2019년 대비 9% 커졌다.
IC인사이츠는 중국에서 판매된 반도체의 60%가량이 전자제품에 장착된 다음 해외로 수출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도체 자급률 70%를 내건 중국의 지난해 자급률이 15%대에 머문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반도체 시장(판매액) 규모는 1430억달러로 2019년 대비 9% 커졌다. 중국은 2005년부터 세계 최대 반도체 시장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자국 반도체 기업이 올린 매출의 비중은 전체의 5.9%에 그쳤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대만 TSMC 등 외국 기업이 현지에서 생산한 반도체를 포함해 중국 내에서 제조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15.9%로 집계됐다. 2019년 15.6%에서 0.3%포인트 올라갔다. 나머지는 모두 수입했다는 의미다. IC인사이츠는 중국에서 판매된 반도체의 60%가량이 전자제품에 장착된 다음 해외로 수출되는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에서 팔린 반도체를 제품별로 보면 로직 칩(논리연산 반도체)이 26.2%로 가장 많았다. 전자제품의 두뇌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22.8%로 그 뒤를 이었다. 메모리반도체인 D램이 18.8%, 낸드플래시가 11.1%를 차지했다.
중국은 2025년까지 자국 내 반도체 생산 비율(자급률)을 70%까지 올린다는 '반도체 굴기' 전략을 진행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미래 산업에 들어가는 고급 반도체에서 기술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하지만 미국이 중국 대표 통신장비·스마트폰 업체인 화웨이에 자국 기술과 장비를 쓰지 못하도록 하는 제재를 가하는 등 험난한 장벽에 맞닥뜨린 상태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로나發 '투자 보릿고개'…초기 스타트업들 고사 위기
- "한국인은 안되는데"…국내 은행서 대출받아 빌딩 산 중국인
- "2차전지 조정 후 반등 온다…지금이 저가 매수해야 할 때"
- '완판' 아이오닉 5, '비주류 전기차'에 터닝포인트 만든다
- 세계 곳곳 식탁물가 급등 아우성…"선진국, 더 큰 타격 올수도"
- MC몽, 12년 만에 병역 기피 적극 해명→영상 삭제 [종합]
- '원정 성매매' 지나, 6개월 만에 전한 근황
- 이영애 '국회의원 후원금 논란' 거듭 해명…"남편과 무관하다"
- '기성용 폭로' 변호사 "소송하라…법정서 증거 내겠다"
- 진태현·박시은 유산…"만나지 못한 애플아"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