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러 떨어진 타이거우즈, '제네시스 GV80' 캐빈룸 기둥들 '내려 앉지 않았다'

손재철 기자 son@kyunghyang.com 2021. 2. 24. 10: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사고 난 타이거 우즈의 GV80. 바디 필러(기둥)들이 내려 앉지 않아 캐빈룸 안전 스페이스를 확보했다.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가 주행 도중 중앙분리대를 넘어 여러 차례 구르며 반대편 차선의 연석과 나무 등을 들이받고, 연이어 도로에서 9m가량 떨어진 비탈길로 굴러 떨어지는 차량 전복 대형 사고를 입었다.

타이거우즈


2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 경찰과 소방당국은 이 같은 브리핑을 전하고 AP 통신 등도 해당 사고 내용을 긴급 보도했다.

현지 대릴 오스비 소방국장은 “우즈의 두 다리 모두 심하게 다쳤다”면서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다리가 복합 골절됐다”고 밝혔다. 현재 우즈는 사고 직후 병원으로 긴급 이송돼 수술에 들어간 상태다. 경찰은 사고 원인과 관련해 우즈가 ‘운전장애’ 상태에서 차를 운전한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예컨대 알렉스 비야누에바 보안관은 “우즈가 약물의 영향을 받았거나 알코올 냄새 등 다른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우즈가 몰다가 전복 사고로 이어진 해당 차량은 미국 현지에서 주목 받아오던 제네시스의 대형 럭셔리 SUV ‘GV80’다. 최신 2021년형으로 이 차엔 긴급제동장치, 차로이탈방지, 차량사고 시 운전자를 케어하는 다양한 주행안전보조장치들이 내장돼 있다. 특히 필러(차체기둥) 등 차체바디강성이 강해 전복시에도 캐빈룸 안전 스페이스 확보에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날 경찰에 따르면 우즈가 몰던 차량은 중앙분리대를 넘어 여러 차례 구른 뒤 도로에서 무려 9m가량 떨어진 비탈길에서 굴러 전복된 상태로 멈췄다. 1차 중앙분리대에 이어 2차, 3차 충격을 차량이 받았지만 캐빈룸 내부는 에어백이 전개된 상황에서 A,B,C 필러 모두 내려 앉는 것 없이 파손되지 않았다. 캐빈룸 스페이스가 확보된 것이다.

이 사고에 대해 폭스뉴스는 커브길에서의 과속이 사고 원인일 수 있다는 현지 경찰관의 말을 전했다.

GV80



GV80 내부


현장에 급파된 알렉스 비야누에바 LA 카운티 보안관은 에어백이 작동했고, 차량 내부 차체는 크게 파손되지 않고 기본 골격이 유지된 상태였다고 전했다. 또 우즈는 사고 당시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손재철 기자 so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