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났습니다]①김영춘 "9회말 2아웃 심정, 경제 정책으로 역전한다"
"불리한 부산 보궐 판도, '경제'로 접근하면 뒤집기 가능"
"홍콩·싱가포르 모델 북항·원도심 개발, 장관·국회 경험 갖춘 시장이 나서야"
"'오거돈 양보' 어쩔수 없는 선택.. 고군분투 10년, 사명감으로 버텼다"
[대담=김성곤 정치부장·정리=이정현 기자] “부산시장 보궐선거는 정치 선거로 가서는 안됩니다. 경제를 살리는데 총력을 쏟아야 합니다. 만만찮은 상황이나 분위기를 바꿀 기회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김 전 장관은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성비위로 촉발된 이번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원죄가 있다. 2014년 지방선거 당시 출마를 선언했으나 당시 범야권 무소속 후보였던 오 전 시장에게 양보했다. 해양수산부 장관시절이었던 2018년에도 부산의 해운산업 재건을 책임지겠다며 출마를 미뤘다. 대승적 결단을 내렸던 것이 결국 악수가 된 셈이다. 그는 “결자해지의 심정으로 부산시장 선거에 나섰으나 당시에는 새누리당에 자리를 내줘서는 안된다는 일념 하에 내린 선택이었다”면서도 “(오 전 시장의 스캔들)충격에서 벗어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피해자와 시민께 ‘그만하라’고 할 때까지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총애 속에 정계에 입문했으며 만 35세였던 16대 총선에서 서울 광진구 갑에 출마해 당선됐다. 상도동계 직계이나 열린우리당 창당 당시 ‘정치개혁’ 깃발을 들고 당적을 옮겼다. 같은 지역구서 재선했으나 19대 총선에서 고향인 부산으로 내려와 지역주의 타파를 외치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지를 잇고 있다.
김 전 장관은 “부산에서 세 번 (총선에)출마해 1번 승리했다. 이번 선거도 9회말 2아웃에 몰려 있다는 심정으로 뛰고 있다”며 “정치인이 된 후 누구에게도 줄을 서지 않고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바보같은 정치를 해왔다. 불리한 선거임을 알지만 사랑하는 고향과 대한민국을 위한다는 숙고와 결단의 정치가 지금의 ’김영춘’을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김 전 장관과의 일문일답.
-‘부산의 운명을 바꾸겠다’고 말했다. 그만큼 부산 경제 사정이 좋지 않다는 건데.
△한때 부산의 융성을 이끌었던 부산 해양 무역이 최근 활력이 떨어졌다. 첨단 산업을 많이 유치해야 하는데 여객뿐만 아니라 화물도 오갈 수 있는 신공항이 필요하다. 현재 대한민국 수출입 물량의 99.5%가 배로 오가는데 가격기준으로 하면 70%대로 떨어진다. 그만큼 항공을 중심으로 신산업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대형 화물 공항이 부산에도 만들어진다면 지역 경제의 대전환이 가능해진다.
-선거 판세가 불리한데 막판 역전 가능성은.
△최근 정치 이슈가 부각되면서 상대적으로 경제 정책이 주목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심각한 부산경제를 생각하면 ‘어떻게 부산 경제를 살릴 것인가’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힘있는 여당 후보가 시장을 해야 부산 경제를 살릴 활로가 뚫린다는 걸 부산 시민에 강조하고 있다. 처음 부산에 도전했을 땐 야권 후보와 비교해 지지율 격차가 컸는데 최근에는 많이 따라왔다. 민심이 일주일 간격으로 요동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시 차원의 코로나19 극복 지원 대책은.
△부산 자체적으로 10만 원 가량의 재난손실 시민소득을 지급하고 정부의 영업제한 조치로 손실을 입은 소상공인에 고정비 일부를 지급하겠다고 공약했다. 부산신용보증재단에 추가 출연을 통한 재난특별대출 2조 원 확대를 비롯한 금융 대책도 세웠다. 시장이 된다면 순차적으로 진행될 백신의 배송·보관·접종·사후조치 등 모든 과정을 진두지휘하겠다.
-북항 재개발과 부산 원도심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부산 경제를 살리기 위한 중요한 포인트다.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과 문현금융단지를 연계해서 부산만의 특화 비즈니스, 특히 선박·항만금융 등 해양금융의 메카로 만들어야 한다. 블록체인특구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자산 금융거래 활성화와 연계한다면 부산도 홍콩이나 싱가포르처럼 세계적인 금융중심지가 될 수 있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장관 재임 시절 대략적인 안이 나왔고 시장이 된다면 구체적인 지역을 정하는 작업이 이어질 것이다.
-부·울·경 메가시티 논의도 빠질 수 없다.
△부산·울산·경남은 중화학과 자동차 등 제조업이 주력이다. 현재 부·울·경 경제공동체를 가장 먼저 기획했다. 이 지역의 방역 특별 연합을 둘 수 있는 특별법이 통과됐는데 이것이 시작이다. 세 지자체가 모여 정기적으로 논의하고 공동 기획이 이어지면 ‘유럽연합’이 만들어졌던 것처럼 부·울·경 경제권인 메가시티 구성도 속도가 붙을 것이다. 가덕신공항 등 인프라가 구성되면 부산의 꿈에 한층 더 가까워질 것이다.
-해양수산부 장관과 국회 사무총장을 거쳤다.
△부산은 해양수도라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국제 무역과 수산의 중심지다. 해양 관광의 메카이기도 하다. 장관 재임 시절 부산의 항만 운영과 수산, 해양관광을 더 활성화할 수 있을 텐데 그렇지 못하다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해양수산부 장관 경험은 부산 시정을 다른 차원으로 점프시키는 중요한 경험이며 여야를 아울렀던 국회 사무총장 경험 역시 다른 후보가 갖지 못한 강점이다.
이정현 (seij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테슬라 10%대 또 폭락…빅테크주 투자자금 탈출 러시
- 정바비, 또 다른 여성 '성관계 영상 불법촬영 혐의'로 입건
- 서욱 국방부 장관 "유승준, 헌법 위반한 병역기피자"
- "리얼돌, 성기능 장애 중요·인간 존엄성 훼손 아냐" 통관 허용
- 당근마켓서 산 가구에 수백만원이…당신이라면?
- 유진박 근황 "매니저 감금·폭행.. 조울증 심해져"
- "명백한 허위" 이달소 츄 측, 학폭 의혹 추가 입장 [전문]
- [카드뉴스] 학폭 가해자 논란 일었던 연예인의 근황은?
- 숨 고르기하는 IPO 시장…3월 큰 장 선다
- 오세훈 "공약 욕심 감당못해"vs 나경원"남탓정치 미래 없어"(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