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면한 김형영 작가 시선집 '겨울이 지나간 자리에∼' 출간

김용출 2021. 2. 24.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0년을 파먹었는데/ 아직도 허기가 진다"('시를 쓴다는 것' 부문)는 원로 시인 김형영(사진)은 숙환으로 저 세상으로 떠난 지난 15일, 평생 동안 쓴 시들 가운데 뽑아 묶어낸 시선집 '겨울이 지나간 자리에 햇살이'(문학과지성사)를 펴냈다.

투병 중 마지막까지 가다듬던 그의 시들은 아케론강을 외롭게 건너던 그에게 기꺼운 존재였을 것이다.

2005년 이후 시들엔 존재와 일상의 작고 소박한 '사태'에 곰삭아지는 그의 모습이 오롯이 담겨 있으니.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려뽑은 시 213편 담아
“50년을 파먹었는데/ 아직도 허기가 진다”(‘시를 쓴다는 것’ 부문)는 원로 시인 김형영(사진)은 숙환으로 저 세상으로 떠난 지난 15일, 평생 동안 쓴 시들 가운데 뽑아 묶어낸 시선집 ‘겨울이 지나간 자리에 햇살이’(문학과지성사)를 펴냈다. 투병 중 마지막까지 가다듬던 그의 시들은 아케론강을 외롭게 건너던 그에게 기꺼운 존재였을 것이다.

“헛것에 홀려/ 떠돌다/ 떠돌다 넘어져/ 돌아보니/ 아이쿠머니나,/ 천지 사방이 여기였구나// 평생이 이 순간이구나”(‘화살시편 10-돌아보니’ 전문)

시선집에는 자신의 시집 10권에서 가려 뽑아 가다듬은 시 213편과 오랜 지기인 평론가 김병익의 해설과 연보가 소담스럽게 담겨 있다. 특히 자신의 인생을 ‘관능적이고 온몸으로 저항하던 초기’(1966-1979), ‘투병 중에 가톨릭에 입교해 교회의 가르침에 열심인 시기’(1980-1992), ‘종교의 구속에서 벗어나려는 시기’(1993-2004), ‘자연과 교감하며 나를 찾아 나선 시기’(2005-2019) 네 개로 구분해 각 시기의 대표작을 담았다.
특히 종교에 귀의했다가 자유를 찾아 나선 시인이 노년에 눈을 돌린 곳은 자연이었다. 2005년 이후 시들엔 존재와 일상의 작고 소박한 ‘사태’에 곰삭아지는 그의 모습이 오롯이 담겨 있으니.

“남 칭찬하고/ 술 한잔 마시고,/ 많이는 아니고/ 조금, 마시고/ 취해서/ 비틀거리니/ 행복하구나./ 갈 길 몰라도/ 행복하구나.”(‘조금 취해서’ 전문)

전북 부안 출신으로 1966년 ‘문학춘추’ 신인상과 1967년 문공부 신인예술상을 받으며 등단한 그는 1973년 ‘침묵의 무늬’를 시작으로 시집 ‘모기들은 혼자서도 소리를 친다’, ‘홀로 울게 하소서’, ‘화살시편’ 등을 펴냈다. 현대문학상, 육사시문학상, 구상문학상 등을 받았다.

김용출 선임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