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민간인 남성 '잠수복 귀순' 논란 여전..월남 당일 1분에 3번꼴로 울린 경보도 문제
6시간 수영 논란..軍 "잠수복 안에 패딩 입어"
귀순 의사 의혹..軍 "사살 가능성 우려한 듯"
경보 무시 논란..軍 "바람에 의한 오경보로 판단"
[앵커]
군의 조사 결과 발표에도, 북한 남성의 정확한 귀순 과정과 동기 등은 여전히 의문입니다.
탐지율이 떨어지다 보니 16일 당시 강풍으로 1분에 3번꼴로 경보가 울린 과학화 경계 시스템 문제와 대책도 논란입니다.
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
[기자]
군의 조사 결과 발표에도 북한 민간인의 월남 관련 의문과 논란은 여전합니다.
겨울 바다에서 6시간 수영 논란에 대해 군은 잠수복 안에 '패딩 점퍼'를 입어 체온 유지와 부력이 가능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강대식 / 국민의힘 의원 : 혹시 수영이 아닌 예를 들면, 부유물이라든지 목선이라든지…. 이런 건 생각해보신 적 없습니까?]
[서욱 / 국방부 장관 : 증거물이라든가 이런 것 등등을 종합해볼 때 그런 부분이 아니고 진술 내용이 타당하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부업으로 어업에 종사해 바다에 익숙하다면서도 구체적 신원과 출신 등에 대해서는 함구했습니다.
또 잠수복과 오리발을 유기한 채 낙엽을 덮고 있다가 발견돼 귀순 의사가 의심스럽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군 관계자는 북한 정부가 우리 군이 귀순자를 사살한다고 교육해 이 남성이 사살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 남성의 상륙 직후 경보가 떴는데도 감시병이 무시한 것도 논란거리입니다.
당시 과학화 경계 시스템 센서 기준값 설정 작업을 했는데 경보 발령을 바람에 의한 오경보로 판단했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입니다.
과학화 경계 시스템의 탐지율이 떨어지다 보니 군 전체에서 평균 4분 30초마다 경보가 발생했고 당일에도 바람이 세게 불어 해당 부대의 경보는 분당 3차례씩 울려 경각심이 낮아진 상태였습니다.
이에 군은 과학화 경계 시스템을 AI로 보강하는 걸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김준락 대령 /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과학화 경계 체계 운용 개념을 보완하고 철책 하단 배수로와 수문을 전수조사하여 보완토록 하겠습니다.]
오경보를 줄일 순 있겠지만 결국 사람이 운용하다 보니 근무 기강에 따라 이런 일이 재발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군은 후속 대책으로 철책 배수로 차단물 전수조사를 제시했는데 지난해 7월 강화도 월북 당시 대책과 똑같아 재탕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또 관리에서 빠졌던 배수로 3곳은 부대의 전임과 후임 간 인수인계에서 누락됐던 만큼 철저한 문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YTN 이승윤[risungyo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