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풀리면 캠핑 갈까 .. 캠핑용품 불티나게 팔린다

임찬영 기자 2021. 2. 23. 2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마다 캠핑을 즐기는 일명 '캠핑족'이 늘어나며 관련 용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렇게 캠핑산업 규모가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캠핑용품을 찾는 캠핑족들의 수요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캠핑용품을 찾고 있는 소비자들이 점차 많아지면서 유통업계에서도 캠핑용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캠핑족이 더 늘어 캠핑용품 판매량이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김지영 디자인기자

해마다 캠핑을 즐기는 일명 '캠핑족'이 늘어나며 관련 용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COVID-19)로 해외여행을 가지 못하는 상황이 장기화되며 캠핑 관련 시장은 더 커질 전망이다.
국내 캠핑산업 4조원 추정 … 유통업체 매출 증가
23일 유통·관광 업계에 따르면 국내 캠핑산업 규모는 2018년 2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2.1% 성장했다. 캠핑산업이 2016년부터 매년 30%대 성장세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지난해 캠핑 산업규모는 4조원대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한국관광공사가 지난달 발표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2월부터 4월까지 국내 주요 캠핑장을 방문한 캠핑객은 전년 대비 73%나 증가했다. 캠핑장이 밀집한 강원 지역은 캠핑객이 두 배 이상 늘어 성장세가 더 가속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캠핑산업 규모가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캠핑용품을 찾는 캠핑족들의 수요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SSG닷컴의 지난해 캠핑용품 매출은 전년 대비 66.8%나 증가했다. 그릴·화로 등 매출이 101% 증가하며 매출 신장에 기여했고 테이블·의자 등 매출도 70.1% 상승했다. SSG닷컴이 단독으로 판매한 '코베아 구이바다 3웨이 올인원 아이보리에디션' 등 전략상품들이 인기가 많았다.

G마켓도 지난해 캠핑용품 매출이 전년 대비 22% 성장하는 등 캠핑용품을 찾는 고객들이 많아졌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새롭게 캠핑에 합류한 일명 '캠린이'들의 영향으로 텐트·타프류 매출은 40%나 성장했다. 감성 캠핑을 즐기는 캠핑족들이 많아지며 천막을 구매한 소비자는 무려 148% 늘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들도 캠핑용품 판매량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마트의 지난해 캠핑용품 매출은 전년 대비 25.9% 증가했다. 캠핑 관련 아웃도어키친 매출도 14.7% 상승했다. 이 중 캠핑테이블과 의자가 각각 63.7%, 68.3%로 인기가 많았다.
'캠핑카' 파는 편의점·홈쇼핑 … 캠핑용품 경쟁도 치열
NS홈쇼핑에서 이색 상품으로 캠핑카를 판매하고 있다./사진= NS홈쇼핑 제공
캠핑용품에 대한 인기는 편의점과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업체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편의점 CU는 지난해 캠핑카를 추석 선물세트로 선보였다. 카라반 전문업체 오토홈즈의 대표 캠핑카 4종과 텐트 트레일러, 접이식 테이블, 심플 그릴, 캠핑카트 등 캠핑 장비를 판매했다. NS홈쇼핑도 지난 14일 TV홈쇼핑 최초로 캠핑카 론칭 방송을 진행했다. 캠핑용품 전문기업 '지바'가 우리나라 캠핑환경에 맞춰 국내에서 제작한 '지바 코코넛 캠핑카' 2종을 선보였다.

식품업계에서도 한정판 캠핑용 굿즈를 판매하는 등 늘어나는 캠핑족을 사로잡을 전략을 펼치고 있다. 스타벅스·투썸플레이스·할리스커피 등이 내놓은 캠핑 굿즈들은 판매와 함께 품절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캠핑용 한정판 굿즈는 인터넷에서 리셀(되팔기)되기도 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캠핑용품을 찾고 있는 소비자들이 점차 많아지면서 유통업계에서도 캠핑용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캠핑족이 더 늘어 캠핑용품 판매량이 앞으로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나체영상 개당 1억" 전 여친 협박한 승마선수최광남, 아내에 "난 20대, 밥 해줄테니 관계 해줘"'성적 발언 학폭 의혹' 에버글로우 아샤 "글쓴이 몰라"'수진 학폭' 최초 폭로자가 공개한 2차 가해 메시지"담임선생님 분양합니다"…중고거래사이트에 올라온 글
임찬영 기자 chan0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