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억 입맛 잡는다.. 오리온 인도 생산기지 완공

이정은 2021. 2. 23. 1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리온이 제과시장 17조원 규모의 인도에 본격 진출한다.

오리온은 인도 라자스탄주에 공장을 준공, 제품 생산에 돌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오리온 인도공장은 중국(5개), 베트남(2개), 러시아(2개)에 이은 10번째 해외 생산기지다.

앞서 오리온은 인도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현지 제조업체 만벤처스와 생산관리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 2019년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베트남 이은 10번째 해외공장
문화·니즈 만족 위해 현지인 채용
비스킷·스낵 등 제품군 확대 예정
오리온 인도 공장
오리온이 제과시장 17조원 규모의 인도에 본격 진출한다.

오리온은 인도 라자스탄주에 공장을 준공, 제품 생산에 돌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오리온 인도공장은 중국(5개), 베트남(2개), 러시아(2개)에 이은 10번째 해외 생산기지다.

오리온은 베트남에서 수입 공급하던 인도 유통물량을 인도공장에서 직접 조달함으로써 물류비 절감은 물론 신선한 상품을 판매하고, 현지 소비자 입맛에 맞는 최적의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됐다.

앞서 오리온은 인도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현지 제조업체 만벤처스와 생산관리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 2019년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생산은 만벤처스가 전담하고, 오리온은 제품 관리와 영업, 마케팅 등을 관할하게 된다. 인도가 다양한 민족과 문화, 넒은 영토를 가진 시장인 만큼 현지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만족시키기 위해 직원 대부분은 현지인으로 채용할 방침이다.

초기에는 강한 브랜드 파워를 갖춘 초코파이를 집중 생산하고, 향후 비스킷과 스낵 등으로 제품군을 확대해 현지 시장점유율을 높여간다는 전략이다. 또 소득 수준이 높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대형마트, 이커머스 판매를 강화해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중국과 베트남에서의 성공 노하우를 기반으로 소규모 전통 채널도 공략할 계획이다.

오리온은 지난 1997년 중국 베이징 근처 랑팡에 첫 해외 생산시설을 설립한데 이어 상하이, 광저우, 셴양을 비롯해 베트남 호치민과 하노이, 러시아 뜨베리와 노보시비리스크 등지에 총 9개의 현지 생산시설을 가동하며 적극적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해왔다. 지난해 해외 매출이 오리온 전체 매출의 65%를 넘을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오리온 관계자는 "인도공장 가동을 계기로 13억명에 달하는 인구, 광활한 영토로 무한한 잠재성을 지닌 인도시장 개척에 가속 페달을 밟게 됐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축적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유수의 제과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인도시장에서 또하나의 K-푸드 신화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nvcess@fnnews.com 이정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