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한은, 국채 직접 인수 바람직하지 않다"(종합)

신호경 2021. 2. 23. 17: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정치권에서 자영업자 피해 보상 재원 방안으로서 한은의 '국채 직접 인수'가 거론되는데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다시 밝혔다.

이 총재는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정부가 발행한 국채를 한은이 직접 인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한은이 발행시장에서 직접 국채를 인수하면) '정부 부채의 화폐화' 논란을 일으키고 그것이 재정건전성 우려, 중앙은행 신뢰 훼손, 대외 신인도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재원위해 이익적립률 낮춰" 여당 요구엔 "조심스럽다.금통위와 논의"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정치권에서 자영업자 피해 보상 재원 방안으로서 한은의 '국채 직접 인수'가 거론되는데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다시 밝혔다.

다만 코로나19 관련 재원 마련을 위해 한은의 이익 적립률을 낮추라는 여당의 요구에 대해서는 "금통위원회와 논의를 해 보겠다"고 답했다.

기재위 답변하는 이주열 한은총재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왼쪽)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답변하고 있다. zjin@yna.co.kr

이 총재는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정부가 발행한 국채를 한은이 직접 인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한은이 발행시장에서 직접 국채를 인수하면) '정부 부채의 화폐화' 논란을 일으키고 그것이 재정건전성 우려, 중앙은행 신뢰 훼손, 대외 신인도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는 "다른 주요국에서는 중앙은행의 국채 (직접) 인수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이후 직접 인수한 사례가 없다"고 덧붙였다.

기재위 업무보고하는 이주열 한은 총재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zjin@yna.co.kr

최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 극복을 위한 손실보상 및 상생에 관한 특별법안'은 코로나19 관련 손실보상금·위로금의 재원을 충당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고, 발행한 국채를 한은이 발행시장에서 직접 인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이 총재는 한은의 통상적 통화관리 수단인 '유통시장'을 통한 국채 매입에는 더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한은의) 국고채 매입은 시장의 수급 상황과 금리를 보고 하는데, 올해는 이전과 달리 국채발행 물량이 예년보다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시장안정을 위한 한은의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한국은행의 법정 적립금을 낮추는 개정안을 준비해서 곧 법안을 제출할 것"이라며 "한은의 순이익이 계속 증가하는데, 한시적으로 코로나 사태가 잦아질 때까지만이라도 적립금을 줄여 적극적으로 국난 극복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의원은 현재 '상생협력연대기금'을 설치해 코로나19에 따른 자영업자 등의 피해보상 재원으로 사용하는 내용의 법안을 준비 중인데, 여기에는 한은의 법정 적립금 비율(당기순이익의 30%)을 줄이는 만큼 정부 납입금을 늘려 기금에 넣는 방안도 포함돼있다.

같은 당 고용진 의원도 이 총재에게 한은 적립금 축소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적립금의 절대적 적정 규모를 산출할 수는 없지만, 과거 적립금이 고갈돼 중앙은행의 신인도 등에 문제가 생긴 적이 있었다"며 "그때의 교훈에 따라 적립금 비율을 30%로 올린 것인데, 사실상 (비율 인하를 말하기가) 조심스럽다. 금통위원들과 논의를 해 보겠다"고 답했다.

shk999@yna.co.kr

☞ 추신수 연봉 27억, 이유 있었네…신세계 전략 보니
☞ 내연녀 나체사진 협박, 아역배우 출신 승마선수 결국…
☞ "스티브 유는 병역기피자" 유승준 입에 안 올린 국방장관
☞ 키 2m 거침 없는 도로 위 칼치기범 …정체 알고 보니
☞ "7살때 성추행…다리 로션도 못 발라" 프로골퍼의 고백
☞ 2층집 통째 차에 싣고 이사 '진풍경'…비용 4억4천만원
☞ "미셸위 팬티에 파파라치 열광" 전 시장 성희롱 '역풍'
☞ '도박자금 필요해' 직장 자금 관리자에 수면제 탄 커피를…
☞ 생후 29일 딸 '반지폭행' 머리 손상…이튿날 끝내 사망
☞ '학폭의혹' 조병규 "삶에 환멸…해서는 안될 생각 떨쳐"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