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경산시 경제협력 공동체 '밑그림'

김정화 2021. 2. 23. 16: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뉴시스]김정화 기자 = 대구시 수성구와 경북 경산시는 23일 오후 경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수성·경산 경제협력 기본구상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2021.02.23. jungk@newsis.com

[대구=뉴시스] 김정화 기자 = 2040년을 향한 대구 수성구와 경산시의 공유·협력이 이뤄지는 지방자치 협력공동체 밑그림이 제시됐다.

대구시 수성구와 경북 경산시는 23일 경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수성·경산 경제협력 기본구상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에서는 경계를 허물고 공유와 협력이 이뤄지는 지방자치 협력공동체 수범 도시를 비전으로 2040년을 향한 연대 방향을 설정하고 핵심프로젝트를 구상했다.

플랫폼 산업 성장거점 육성 등 산업과 일자리, 미래교육 선도도시와 다시 찾는 특색있는 문화관광 등 교육, 문화와 관광, 주민 삶의 질 개선, 미래형 도시건설 등 환경, 교통, 행정 등 미래 전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최종보고회에서는 위례신도시, 간사이 광역연합 등 국내외 지역 협력 사례를 제시하며 지역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수성구와 경산시의 경제협력 필요성을 설명했다.

경계 허물고 공유·협력…4개 분야 44개 사업 제안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드론택시 공개비행 시연이 열린 16일 오후 대구 수성구 수성못에서 도심항공교통(UAM) 대구실증 행사에서 중국 이항사의 2인승급 드론택시용기체 이항216이 시범비행을 하고 있다. 이번 비행은 상화동산에서 고도 30m로 이륙해 수성못 수상 2km를 초속 10m의 속도로 7분 비행했다. 2020.11.16. lmy@newsis.com
경산시의 일자리, 인재와 대구 수성구의 안락한 거주 및 상업시설 등을 바탕으로 4개 분야 44개 사업이 제안됐다.

산업분야는 미래산업, 육성, 인재양성, 일자리 등을 담은 4가지 프로젝트 11개 사업이 제시됐다.

미래형 모빌리티 산업, 비대면 기반 지식서비스 산업 등 3개 분야의 육성 방안을 담은 수경 미래산업 프로젝트, 수경 뷰티산업 육성, 메디뷰티패션 관광상품 개발 등 2개 분야 육성을 포함한 퍼스널케어 융합산업 육성 프로젝트가 포함됐다.

콘텐츠 기반 청년 인재 양성 프로젝트에는 창작 기반 콘텐츠 개발,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융합 콘텐츠 등 인재 양성의 3가지 방안이 사회적 경제 일자리 나누기, 기술과 인재로 일자리 키우기 등을 포함한 수경형 일자리 프로젝트도 담겼다.

사람 분야는 글로벌 미래교육특구 조성, 문화이음 프로젝트, 온디멘드 문화관광 지대, 수경형 청년 행복 프로젝트 등 14개 사업이 포함됐다.

세부 사업은 글로벌인재육성, 스마트 그린에듀시스템 구축 등 인재육성 방안과 수경 문화네트워크 구축 등 문화협력방안, 웰니스 오감 체험형 관광상품 개발 등 문화관광기반 조성방안, 수경 청년살림지원센터 건립 등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담고 있다.

SOC 분야는 수경 미래 신교통, 수경 광역교통망 등 2개 연결 프로젝트와 스마트 트인 시티, 클린 세이프 에코 도시 등 2개 도시 조성방안과 11개 사업이 제시됐다.

대구권 광역철도 신설역으로 고모역 역사건설, 대구도시철도 1·3호선의 경산 연장 등을 담은 방안을 내놨다.

행정 분야는 지역 밀착형 생활 SOC 공유 프로젝트와 수경형 행정두레 사업 추진 등 2개 방안과 8개 사업이 제안됐다. 세부사업으로는 성실남세자 통합 선정, 농기계 임대 상호 이용, 수성구-경산 크로스 체크 영치반 등을 포함했다.

수성구·경산시 경제협력 추진은 '2단계'로

[대구=뉴시스]· 대구시 수성구와 경북 경산시는 23일 오후 경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수성·경산 경제협력 기본구상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사진 = 뉴시스 DB) 2021.02.23. photo@newsis.com
수성구와 경산시는 용역을 바탕으로 업무협약 방식, 위원회 또는 행정협의회 설치 등 2단계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업무협약 후 2단계에서는 위원회 또는 행정협의회 설치 등 2가지 안이 제시됐다.

협의를 거쳐 조례를 제정하고 지방의회의결 후 위원회를 운영하는 위원회 안은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가 대표 사례다.

위원회 산하에는 위원회 사무국, 실무분과위원회를 설치하고 수성구청장, 경산시장 또는 민간 공동위원장 등이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시·구 국장급 공무원을 당연직 위원으로 시·구의회, 학계, 민간전문가, 주민대표 등을 위촉직 위원으로서 구성하는 방안이다.

지방자치법 제152조와 제158조를 근거로 설치하는 행정협의회 안은 협의를 거쳐 규약을 제정하고 지방의회의결 후 고시한다. 이후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에게 보고 후 행정협의회를 운영하는 안이다.

의장은 수성구청장 및 경산시장이 윤번제로 맡고 간사를 두고 실무협의회를 구성하는 방안이다.

[대구=뉴시스]김정화 기자 = 대구시 수성구와 경북 경산시는 23일 오후 경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수성·경산 경제협력 기본구상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왼쪽부터 최영조 경산시장, 김대권 대구 수성구청장. (사진 = 대구시 수성구 제공) 2021.02.23. photo@newsis.com ·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대학, 학생 등 인재들이 많은 경산시와 구매력을 가진 소비자들이 많은 수성구는 자원에 비대칭이 있다. 이러한 비대칭이 대칭화 한다면 양쪽 효용이 많이 올라갈 것이다"며 "다리 하나만 지나면 바로 옆에 붙은 도시로 갈 수 있는 양 도시가 연대 협력하고 공유하는 미래 비전을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새로운 꿈과 희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

최영조 경산시장은 "수성구와 경산시의 시설을 같이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고민해야 한다"며 "양 기관이 시민들과 구민들을 위한 복지 증진을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으면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g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