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바이오, 어닝쇼크 속 레코켐바이오 투자유치 통할까?

유준하 2021. 2. 23. 14: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이하 브릿지바이오)가 실적 악재 속에서도 레고켐바이오(141080)와 신약후보물질 임상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미국 보스턴 지역에 위치한 신약 발굴 센터 투자에 나서 눈길을 끈다.

해당 신약후보물질인 'BBT-877'은 지난해 독일 제약회사인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독점 권리가 반환된 바 있으나 직접 임상 준비를 진행하면서 관련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레고켐바이오서 50억원 유상증자 조달
美 종속회사에 110억원 현금출자 투자확대 '눈길'
자체 신약 발굴 센터 역량 강화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이하 브릿지바이오)가 실적 악재 속에서도 레고켐바이오(141080)와 신약후보물질 임상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미국 보스턴 지역에 위치한 신약 발굴 센터 투자에 나서 눈길을 끈다. 해당 신약후보물질인 ‘BBT-877’은 지난해 독일 제약회사인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독점 권리가 반환된 바 있으나 직접 임상 준비를 진행하면서 관련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1월9일 기술이전 반환 공시 이후 주가 추이.(자료=마켓포인트)
2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브릿지바이오 주가는 오후 2시4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3.48%(550원) 하락한 1만5250원을 기록 중이다. 같은 시간 레고켐바이오는 0.58%(300원) 내린 5만1700원에 거래 중이다.

BBT-877은 특발성 폐섬유증(IPF·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신약 후보 물질로 브릿지바이오가 지난 2017년 레고켐바이오사로부터 기술 이전받은 물질이다. 2019년에는 독일 제약회사 베링거인겔하임에 1조5000억원 규모로 기술 이전된 바 있다. 다만 지난해 11월 베링거인겔하임은 잠재적 독성 우려에 관한 내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해당 권리를 반환했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 2017년 레고켐바이오사로부터 BBT-877을 이전받았고 임상 1상 진행 중에 독일 베링거로 1조5000억원 규모로 기술 수출을 한 바 있다”며 “기존대로 진행됐다면 베링거인겔하임이 임상을 진행했겠지만 현재 직접 개발을 이끌어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원발굴회사인 레고켐바이오가 나서 직접 임상 자금을 지원했다. 총 5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 것이다. 신주 발행가액은 1만5750원이다. 총 발행 주식수는 31만7460주로 증자전 발행주식총수 대비 1.65% 규모다.

한편 베링거인겔하임의 권리 반환으로 지난해 회사 실적은 직격탄을 맞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브릿지바이오 매출액은 63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89.1%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은 195억원을 기록해 적자 전환했다.

이는 회사가 NRDO(No Research Development Only) 기업인 만큼 기술 수출이 불발되면 실적 악영향은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NRDO는 기업이나 연구소 등 다른 주체들이 발굴한 물질을 외부에서 도입해 개발한 뒤 개발 중간 단계에서 라이선스아웃(기술수출)을 통해 수익을 내는 방식이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임상 자금 마련 및 역량 투자에 나선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회사는 이날 미국에 위치한 100% 자회사에 110억원 규모의 자금을 유상증자 형태로 현금 출자했다. 이는 미국 현지 디스커버리 센터를 통해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장기적으로는 후기임상개발역량을 확장하기 위한 행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창립 6년차인데 지난 5년까지가 일종의 준비기였다면 올해는 본격 성장기에 진입할 원년”이라며 “성장 발판을 마련하는 데 있어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디스커버리 센터가 주요 역할을 담당할 예정인 만큼 투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유준하 (xylito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