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MB불법사찰' 두고 박형준 맹공..내부총질까지 '첩첩산중'

2021. 2. 23. 14: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당 연일 공격하자 국민의힘은 DJ정권 당시 사찰까지 조사하자 압박

[박호경 기자(=부산)(bsnews3@pressian.co)]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의 정치인 등 각계 인사 불법 사찰 의혹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야권에서도 당시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박형준 동아대 교수를 향한 사실규명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에서는 4.7 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박 교수가 높은 지지율을 얻으면서 당선이 유력시되자 불법사찰 논란을 선거에 활용하는 '신종 정치개입'이라며 반발하는 등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 박형준 국민의힘 부산시장 예비후보. ⓒ프레시안(박호경)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MB 국정원에서 생산된 사찰 보고서가 민정수석실과 정무수석실, 국무총리실로 배포된 흔적이 발견됐고 박근혜 정부 시절 생산한 사찰 내용도 담겨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난 22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전체회의에서 국가정보원으로부터 받은 비공개 보고 내용을 브리핑한 정보위 간사인 김병기 민주당 의원이 설명으로 야당 간사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박형준 전 수석이 직접 보고받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배수진을 쳤으나 민주당은 곧바로 공격에 들어간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MB 청와대와 총리실이 어떤 목적에서 불법 사찰 문건을 보고받았는지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상상하기조차 두렵다"며 "독재의 경계를 넘어선 불법행위가 드러난 이상, 이명박-박근혜 청와대와 국정원이 자행한 민주주의 파괴행위를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박 교수에게 사찰에 대한 소명을 촉구했다.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는 이날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가 정보기관인 국정원을 동원해 국회의원과 언론인, 연예인, 시민단체 활동가 등을 사찰한 것은 매우 심각한 범죄행위다"며 "저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의 탄압을 받아 국회의원직을 빼앗긴 당사자로서 청와대 실세들이 불법 사찰을 몰랐다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격이다"고 박 교수를 겨냥했다.

특히 "MB정권 창출의 1등 공신이자 국정원 불법 사찰이 있었던 MB정권에서 정무수석비서관, 대통령 홍보기획관 등 핵심 요직에 있었던 박형준 후보가 과연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되묻고 싶다"며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불법사찰을 일삼아 온 낡은 정치세력을 걷어내고 중단 없는 적폐청산이 될 수 있도록 부산시민들과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서 연일 'MB정권 불법사찰'을 두고 박 교수에게 진실규명을 촉구하고 나서자 국민의힘에서는 김대중(DJ)·노무현 정부 임기까지 포함한 전수조사까지 거론하면서 맞서고 있다.

박 교수와 함께 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 경선을 벌이고 있는 박민식 전 의원은 지난 18일 국회까지 올라가 기자회견을 열고 "김대중 정부 때는 국정원에서 불법 도청이 없었다는 지난 16일 박지원 원장의 발언은 명백한 거짓말이다"며 "김대중 정부 당시 불법도청의 실상을 공개하라"며 불을 짚였다.

그는 "지난 1998년부터 2002년까지 국정원이 감청장치 20세트를 활용해 여야 정치인과 기업인 등 약1800명의 통화를 무차별 도청했고 이는 사법부에서 실체적 진실로 밝혀졌다"며 "당시 서울지검 특수1부 주임검사로서 신건 전 국정원장과 임동원 전 국정원장 등을 구속 기소했었다"고 밝힌 바 있다.

하태경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은 지난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엄연한 법원 판결까지 있는데도 진보정부 국정원은 깨끗했고 보수정부 국정원만 더러웠다며 국정원장이 선거 앞두고 야당 때리기 선봉에 선 것이다"며 "국정원이 불법사찰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고 부당한 정치개입이지만 과거 사찰정보를 국정원이 선택적이고 당파적으로 악용하는 것도 부당한 정치개입이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불출마를 선언한 후 국회 업무에 집중하던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부산진구갑, 5선)도 23일 오전 BBS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박형준 후보는 내용도 알지 못하고 전혀 관계없는 일이다, 이렇게 말씀을 하고 있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서 의원은 "박지원 원장은 뒷돈 주고 남북정상회담 했다고 징역형까지 받은 사람"이라며 "이런 박지원 씨를 문재인 대통령은 국정원장에 임명했고 박지원 씨는 문재인 대통령을 위해 애국심을 가지고 충성을 다하겠다고 화답했다. 이런 사람을 국정원장으로 임명했을 때는 분명히 노림수가 있으리라고 봤는데 이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어 "역대 정부에서 불법사찰이 가장 심했을 때가 박지원 원장이 DJ정부 핵심이었을 때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국정원은 불법 사찰이 MB정권 때만 있었고 DJ정부 때는 없었다라고 정보위에 보고한 거 아닌가"라며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40일 앞둔 지금이다. 국정원에서 불법 사찰 의혹을 꺼낸 것은 명백한 선거용 정치공작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 교수 측에서는 이같은 MB정권 불법사찰 문제에 대해 후보자 본인도 전혀 아는 사실이 없으며 "문재인 정부가 선거를 앞두고 비정상적인 선거공작을 펼치는 것이다"며 선을 긋고 있다.

지난 22일 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자 맞수토론에 나선 박 교수는 이례적으로 비전발표를 통해 "민주당은 이번에 후보를 내서는 안 되는 정당이다. 대통령이 만든 당헌도 후보를 내고 선거공작으로 저를 흠집내려고 한다"며 "국정원 불법사찰 관여한 적도, 알지도 못한다. 정권 차원에서 이렇게 공작하는 것을 부산시민이 제일 싫어한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박호경 기자(=부산)(bsnews3@pressian.co)]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