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심 가를 일주일..박영선·우상호, 경쟁자 강점 파고들기

김겨레 2021. 2. 22. 19: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경선 후보 선출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앞서 민주당 소속 서울시의원 101명 가운데 79명이 공개적으로 우 후보에게 응원 릴레이를 보냈다.

우 후보는 이날 "세대별로 누가 투표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샘플 수에 맞게 세대를 보정한 여론조사대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며 "이번엔 결집도 싸움으로 우상호 지지층이 더 많이 투표에 나서면 이긴다"고 막판 뒤집기를 자신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영선, 우상호에 응원 보낸 서울시의회 방문
한노총에선 "노동문제 대책 발표"
우상호, AI기업 찾아가 '벤처 친화' 행보
일반 여론조사 '직접 투표' 방식으로 변경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경선 후보 선출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출사표를 낸 박영선·우상호 후보는 22일 각각 서로의 강점을 파고들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예비후보가 22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서울본부를 방문, 김기철 한국노총 서울지역본부 의장 등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박영선 후보는 이날 서울 조계사·서울시의회·한국노동조합총연맹 등을 방문해 지지를 호소했다. 우상호 후보자 자신의 강점으로 ‘조직력’과 ‘민주당다움’을 내세우며 추격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앞서 민주당 소속 서울시의원 101명 가운데 79명이 공개적으로 우 후보에게 응원 릴레이를 보냈다. 지역구 국회의원과 지역위원회와 소통이 잦은 시의원들이 우 후보를 응원한 것은 그만큼 민주당 내 우호 세력이 많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박 후보 측은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현역 의원들의 응원 메시지가 공개 지지 선언으로 보일 수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고, 우 후보 측은 주의 조치를 받았다.

박 후보가 이날 노동계를 찾아 ‘좌클릭’ 행보에 나선 것도 마찬가지다. 박 후보는 한국노총 지도부를 만나 “정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며 “사각지대 노동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우 후보는 자신이 86 운동권임을 박 후보와의 차별화 지점으로 꼽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서울시장 경선후보가 22일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에 위치한 AI솔루션 기업 솔루게이트에서 열린 4차 산업 관련 기업인들과 간담회에서 코딩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 후보는 이날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에 위치한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 업체 솔루게이트를 방문해 4차 산업 관련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서울시에 중소기업들을 집중 지원할 수 있는 원스톱 체계를 구축하고 지원 시스템을 활성화 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지낸 박 후보가 ‘K-주사기’를 홍보하고 벤처 친화적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맞불을 놓은 셈이다.

민주당은 오는 26일부터 이틀간 온라인 권리당원 투표를 실시한다. 28일과 내달 1일 이틀 동안은 일반 ARS 조사를 실시해 50%씩 반영한다. 다만 이번 경선에선 그동안 사용했던 세대별 여론조사 방식이 아닌 직접 투표 방식으로 변경됐다. 직접투표 방식은 여론조사와 달리 안심번호를 통해 세대별로 총 6만 명을 선거인단으로 모집하고 이 가운데 실제 투표에 참여한 사람들의 지지를 더 많이 얻는 방식이다.

우 후보는 이날 “세대별로 누가 투표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샘플 수에 맞게 세대를 보정한 여론조사대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며 “이번엔 결집도 싸움으로 우상호 지지층이 더 많이 투표에 나서면 이긴다”고 막판 뒤집기를 자신했다.

김겨레 (re9709@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