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유가? 골드만 "3분기 75달러 간다"

권다희 기자 2021. 2. 22. 15: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유 수요가 당분간 공급을 앞지르며 국제유가(브렌트유 기준)가 오는 3분기 배럴당 7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골드만삭스가 전망했다.

22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올해 2분기와 3분기 브렌트유 가격 전망을 각각 배럴당 70달러, 75달러로 제시했다.

골드만삭스의 상향 조정은 에너지 수요 회복 속도를 공급이 따라오지 못할 것이란 전망에서 나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1년간 브렌트유 선물 가격 추이/출처=인베스팅닷컴

원유 수요가 당분간 공급을 앞지르며 국제유가(브렌트유 기준)가 오는 3분기 배럴당 7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골드만삭스가 전망했다.

22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올해 2분기와 3분기 브렌트유 가격 전망을 각각 배럴당 70달러, 75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이전 전망보다 배럴당 10달러 더 높은 수치다.

골드만삭스의 상향 조정은 에너지 수요 회복 속도를 공급이 따라오지 못할 것이란 전망에서 나왔다. 오는 7월말까지 소비가 코로나19(COVID-19) 확산 이전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이나, 주요 산유국들의 원유 생산은 상당히 비탄력적으로 남아 있으리란 예상이다.

골드만삭스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비회원 산유국 연합체인 오펙플러스(OPEC+)의 리밸런싱(재균형화)이 늦을 것이라 내다봤다. 전세계 원유 재고 감소가 빨라지는 가운데 늘어나는 수요만큼 빠른 증산이 이뤄지지 못할 거란 의미다.

여기에 또다른 주요 산유국 이란의 증산도 단기적으로는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 미국과 이란간이란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협상 개시가 난항을 겪고 있어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란핵합의 복원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이란 내 핵합의 복원을 반대하는 목소리 등과 양국간 이견으로 협상 개시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란에 대한 제재가 유지되면 이란 석유 수출이 그만큼 늦어진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예상된다. 다음달 4일 OPEC+ 회의를 앞두고 사우디와 증산을 원하는 러시아가 산유량을 둘러싼 이견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워런 패터슨 ING 뱅크 원자재 투자전략 대표는 블룸버그통신에 "OPEC+ 회의가 다가오면서 유가가 다음주 높은 변동성을 기록할 것"이라 내다봤다.

한편 런던 ICE 거래소 브렌트유 4월 인도분 가격은 한국시간 이날 오후 1시30분 기준 배럴 당 63.7달러를 기록했다. 유가는 연초 대비 22% 상승,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올해 유가 상승은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지난달 자체 감산 계획을 밝힌데다 소비 회복으로 수요가 늘면서 빨라졌다. 물가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투자 수요도 원유 수요를 늘린 이유로 꼽힌다.

[관련기사]☞ 청순 이미지 여배우도 줄잇는 '학폭' 폭로…"죗값 받아""내 이름 입에 담지마" 서신애, 또 의미심장 SNS교실서 애정행각…유부남과 미혼 여교사 '불륜' 사실이었다남편 불륜에 "3일 아내, 3일 내연녀, 1일 휴가"…경찰의 중재안"조병규에게 맞았다고? 학창시절 왜소한 멸치 그자체"
권다희 기자 dawn27@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