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C, "액체생검, 유전체 기반 산업 지도 이끈다"

강재웅 2021. 2. 22. 15: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원다이애그노믹스(이하 EDGC)는 22일 이민섭 EDGC 공동대표가 제58회 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연사로 초청돼 '조기 암 진단' 혁신기술인 액체생검을 주제로 특별 강연했다고 밝혔다.

이 공동대표는 특별강연에서 유전체 기술의 과거와 현재를 공유하는 한편, 관련 산업의 미래 그리고 액체생검 혁명이 가져올 예방ㆍ관리 의료 패러다임에 대한 전망과 통찰을 제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원다이애그노믹스(이하 EDGC)는 22일 이민섭 EDGC 공동대표가 제58회 대한종합건강관리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연사로 초청돼 ‘조기 암 진단’ 혁신기술인 액체생검을 주제로 특별 강연했다고 밝혔다.

이 공동대표는 특별강연에서 유전체 기술의 과거와 현재를 공유하는 한편, 관련 산업의 미래 그리고 액체생검 혁명이 가져올 예방ㆍ관리 의료 패러다임에 대한 전망과 통찰을 제시했다.

액체생검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 기반 암 진단 기술로서 이 분야 최고의 유전체 분석 기술로 손꼽힌다. 고도의 유전체 해독기술과 특화된 인공지능(AI)인공지능 분석능력을 필요로 해 4차산업혁명 시대 바이오헬스케어의 ‘꽃’이라고 불린다.

현재 바이오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스마트 시티 등 주택, 자동차 등에 접목되면서 인류 역사상 최대규모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개인맞춤형 정밀의료 서비스 시대에 있어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의 반도체는 ‘액체생검’이다.

EDGC는 혈액 내 cfDNA(세포유리 DNA) 액체생검 혁신기술을 이용한 조기 암 진단과 추적 모니터링을 모든 암 적용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해 일루미나에 약 10조원으로 인수된 미국의 그레일과 함께 압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 공동대표는 “NGS 액체생검 혁신기술을 활용하면 개인의 유전체 정보 분석을 통해 맞춤 진료가 가능하다”며 “통계에 의한 진료를 넘어 개인의 유전자 특성에 맞는 진단과 치료, 처방이 가능해져 정밀의학을 실현시키는 첨단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액체생검 등 유전체 기술은 인류의 네트워크 생태계마저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인 초거대기업은 금융ㆍ에너지 기업에서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 컨슈머IT 기업들이 이끌고 있다.

이 공동대표는 “앞으로는 인터넷에서 나아가 유전체를 기반으로 연결되는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이 전 세계 시장을 선도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환자 개개인의 유전체 정보 분석 데이터를 확보하는 기업이 다음 세대를 이끌 것으로 본다. 그런 점에서 EDGC의 기술력은 글로벌 리딩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kjw@fnnews.com 강재웅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