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앞 찾은 여행업계 "생존절벽 내몰려..재난지원금 사각지대"

박경만 2021. 2. 22. 14: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로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여행업계가 '여행업 생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22일 서울 청와대 분수대 광장 앞에서 금융·재정·고용 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시위에 나섰다.

전국에서 모인 여행관련 종사자 50여명은 집합금지 업종에 준해 4차 재난지원금을 지원해줄 것과, 다음달로 만료되는 여행업·관광숙박업·국제회의업 등에 대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코로나19가 종식될 때까지 연장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세계 대유행]한국관광클럽 회원 등 50여명 호소
한국관광클럽 등 여행업 종사자들이 22일 청와대 앞 분수대광장에서 4차 재난지원금 지원 등을 요구하며 피켓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국관광클럽 제공

코로나19로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여행업계가 ‘여행업 생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22일 서울 청와대 분수대 광장 앞에서 금융·재정·고용 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시위에 나섰다.

전국에서 모인 여행관련 종사자 50여명은 집합금지 업종에 준해 4차 재난지원금을 지원해줄 것과, 다음달로 만료되는 여행업·관광숙박업·국제회의업 등에 대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코로나19가 종식될 때까지 연장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다.

참석자들은 이어 국내 여행 종사자 절반 이상이 휴직·실직하고 중소·영세 여행사 대표들도 ‘매출 제로’ 상황에서 빚더미에 오른 만큼 여행 생태계가 버틸 수 있는 생존환경을 마련해달라고 입을 모았다.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은 “지난 1년간 여행사들은 여행자제, 사회적 거리두기, 입출국자 14일 격리조치 등으로 영업이 금지가 되었음에도 정부 재난지원금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10만여 여행업 종사자와 그 가족들을 대신해 간곡한 호소를 드리고자 거리로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여행사 대표들은 성명에서 “매출 제로 상태로 1년을 견뎌 온 여행업계는 지금 이 순간 생존절벽에 다다랐다. 사업자들은 빚더미로 쌓이는 고정경비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고, 종사자들은 대량 실직으로 뿔뿔이 흩어져 거리로 내몰렸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여행업 생존을 위해 △4차 재난지원금 및 손실보상법 제정 시 집합금지 업종에 준하는 지원 △관광진흥개발기금 무담보 신용대출 확대 및 대출조건 완화 △사업주 부담 직원 4대 보험금 감면(또는 유예) △자가 격리 14일 기준 완화 및 과학적, 합리적 기준 설정 △관광산업 재난업종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등을 요구했다.

한국관광클럽 등 여행업 종사자들이 22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4차 재난지원금 지원 등을 요구하며 피켓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국관광클럽 제공

앞서 여행업계는 지난 16일 한국여행업협회, 서울시관광협회, 한국관광클럽 등 14개 여행관련 단체들이 참석한 가운데 ‘여행업 생존 비상대책위’를 구성했다. 비상대책위는 26일까지 청와대 앞 시위를 이어갈 방침이다.

한편, 한국여행업협회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맡겨 지난해 9월14일부터 10월30일까지 전국 여행업 등록업체 1만7664개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한 결과, 여행업계의 지난해 매출액은 2조580억원으로 2019년(12조6439억원)에 비해 83.7%인 10조5859여억원이 줄었다. 여행업체 4500여 곳이 문을 닫았고, 종사자의 절반가량인 4만8천여명이 휴직 또는 실직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16일 여행업계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관광업종은 집합제한업종은 아니지만, 여행자제 권고와 자가격리 등으로 사실상 영업이 불가능했던 업종”이라며 “관광업계가 코로나19 이후까지 버틸 수 있도록 추가적인 금융·재정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황 장관은 “4차 재난지원금과 재해보상법 논의 과정에서 관광업계의 요구사항이 반영되도록 당정과의 협의를 강화하겠다. (여행객에게) 신속 유전자증폭(PCR) 검사 방식을 도입하는 것도 방역당국과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