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배터리 '전고체전지' 전해질 대량생산 기술 개발

이정훈 2021. 2. 22. 14: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전기연구원(이하 전기연구원)은 차세대전지로 불리는 전고체 전지에 들어가는 황화물 고체전해질을 저렴하게 대량합성하는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하윤철 박사팀은 전고체전지 중에서 가장 주목받는 '황화물(Sulfide) 계열 고체전해질'을 저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연구원 하윤철 박사팀, 공침법 활용 비용 절감 효과
전기연구원 하윤철 박사와 공침법을 사용해 제조한 유기용매와 고체전해질. [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전기연구원(이하 전기연구원)은 차세대전지로 불리는 전고체 전지에 들어가는 황화물 고체전해질을 저렴하게 대량합성하는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전기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

전고체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다.

불연성인 고체를 사용해 화재 위험이 없고, 온도변화나 외부 충격에도 강하다.

하윤철 박사팀은 전고체전지 중에서 가장 주목받는 '황화물(Sulfide) 계열 고체전해질'을 저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주원료인 황화 리튬(Li2S)이 비싸고, 만드는 과정에 많은 에너지가 든다.

하 박사팀은 현재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소재를 대량생산할 때 쓰는 '공침법'(Coprecopitation method)을 활용해 황화물 계열 고체전해질 제조에 성공했다.

공침법은 서로 다른 이온들을 수용액 혹은 비수용액에서 동시에 침전시키는 것을 일컫는다.

하윤철 박사팀은 값비싼 황화 리튬을 쓰지 않고 리튬, 황, 인, 할로겐 원소 등을 공침 시키는 방법으로 황화 리튬을 사용한 것과 동일한 수준의 고체전해질 제조에 성공했다.

전기연구원은 순수 원료비 기준으로 하윤철 박사팀이 개발한 제조법이 황화 리튬을 이용한 고체전해질 제조 비용의 15분의 1에 불과하며 고에너지 공정을 거치지 않아 비용 절감 효과가 더 크다고 소개했다.

seaman@yna.co.kr

☞ "청순한 여배우 학폭" 박혜수 지목에 소속사 '발끈'
☞ 남친 구하러 불타는 자동차 뛰어든 여성…전직 가수였다
☞ 근무 중 애정행각 남녀 경찰간부 '초유의 불륜파면'
☞ 'SKY캐슬' 김동희도 학폭? 소속사 "본인 확인했더니…"
☞ "팬티 보였다" 전 시장에 미셸 위 "내가 이긴거나 기억해"
☞ 학폭파문 트롯계로…'트롯 전국체전' 우승 진해성도 의혹
☞ '학폭의혹' (여자)아이들 수진, 서신애에 욕설 주장에…
☞ 차에 말다툼한 여친 매달고 쌩…결혼으로 합의보려다
☞ "젊은 여성에 돈 주고 데이트"…'슈가북' 창립자 체포
☞ 서울패밀리 멤버 유노, 암투병 중 별세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