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재검토 앞두고 재고떨이? LG 5G폰 실구매가 줄줄이 내린다

김은지 2021. 2. 21. 19: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가 임박한 가운데, LG전자 5G 스마트폰의 구매가도 하락하고 있다.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 정리를 공식화 하면서, LG전자 플래그십 폰의 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이 중 V50 씽큐는 LG전자가 최초로 선보인 5G 스마트폰이자 탈착식 듀얼 스크린을 적용한 제품이다.

지난 17일 국회에서는 LG 스마트폰이 시장에서 철수하면 삼성전자 점유율이 70%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지고, 단말기 가격 상승 등 소비자 부담이 과중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 윙 등 공시지원금 상향조정
삼성 점유율 70% 독과점 우려
단말기 가격상승 등 부담 지적
과기정통부 "대책 마련하겠다"
LG 윙. LG전자 제공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가 임박한 가운데, LG전자 5G 스마트폰의 구매가도 하락하고 있다.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 정리를 공식화 하면서, LG전자 플래그십 폰의 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사업정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출고가를 인하한다는 평가와 함께, 일각에서는 사업 철수에 따른 재고떨이의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21일 스마트초이스에 따르면 SK텔레콤, LG유플러스가 최근 'LG 윙'을 비롯해 LG 5G 스마트폰의 공시지원금을 잇따라 상향 조정했다. 특히 LG전자의 전략스마트폰인 'LG 윙'은 LG전자의 기대가 어느때 보다 컸던 스위블(Swivel) 폰으로, 삼성전자의 폴더블폰과 함께 폼팩터 혁신을 주도할 모델로 주목받아왔다.

LG 윙은 가로와 세로가 만난 형태의 스마트폰으로 평소에는 바(bar) 타입으로 쓰다 멀티태스킹을 할 때는 메인스크린을 회전해 보조스크린과 함께 쓰는 방식이다. 그러나 당초 폼펙터 혁신을 주도할 것이란 기대와는 달리, 시장이 화면이 접히는 폴더블 시장으로 재편되면서 결국 흥행에 실패했다.

이에 맞춰, 각 통신사들이 공시지원금을 조정하며 사실상 재고털이에 나선 상황이다.

SKT는 지난 17일 LG윙의 공시지원금을 요금제별 38만9000~5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SKT가 LG 윙의 공시지원금을 8만7000원~17만원 선으로 책정한 것에 비하면, 최대 3배 가량 대폭 높인 금액이다.

SKT에 앞서 LG유플러스도 지난해 12월 LG 윙의 공시지원금을 5G 시그니처, 5G 프리미어 레귤러, 5G 프리미어 슈퍼, 5G 프리미어 플러스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60만원까지 높인 상태다.

KT는 3사 중 유일하게 LG 윙의 공시지원금을 조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KT 역시 조만간 LG 윙의 공시지원금을 상향할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현재 KT의 LG 윙 공시지원금은 최대 24만원 선이다.

SKT, LG유플러스가 공시지원금을 대폭 조정한 모델은 LG 윙 뿐만이 아니다. 또 다른 LG전자의 5G 스마트폰 'V50 씽큐'와 함께 후속제품인 'V50S 씽큐'의 공시지원금도 조정됐다. LG V50 씽큐는 2019년 5월, LG V50S 씽큐는 2019년 10월 시장에 출시됐다. 이 중 V50 씽큐는 LG전자가 최초로 선보인 5G 스마트폰이자 탈착식 듀얼 스크린을 적용한 제품이다.

SKT의 LG V50S 씽큐 출고가는 84만7000원, 최대 공시지원금은 60만원으로 실 구매가격은 대폭 떨어졌다. LG유플러스도 지난달 21일 LG V50 씽큐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73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공시지원금이 올라간 반면 제품 출고가는 75만200원까지 낮아졌다.

한편,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LG전자의 스마트폰 철수와 관련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17일 국회에서는 LG 스마트폰이 시장에서 철수하면 삼성전자 점유율이 70% 이상으로 과도하게 높아지고, 단말기 가격 상승 등 소비자 부담이 과중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관련,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공식화된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 시장 동향을 보고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또 삼성, 애플의 단말기 독과점 유통구조로 인한 단말기 가격 상승에 대해서는 "이 때문에 자급제폰 활성화 노력을 많이 하고 있으며 앞으로 개선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중저가폰 쿼터제 도입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김은지기자 kej@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