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역설.. 국립공원 생태 살아난다

최종필 2021. 2. 21. 19: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악회 회원 50명 중 겨우 15명 나왔네요. 코로나19의 확산 우려로 참석 인원이 '확' 줄었어요."

21일 오전 9시쯤 광주 무등산 입구에서 등산을 시작한 모 산악회 회원들의 말이다.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호남의 명산인 무등산 국립공원 탐방객이 줄면서 생태계가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공원 관계자는 "등산객 감소로 국립공원의 생태계가 살아나고 있다"면서 "무등산뿐 아니라 전국 국립공원의 상황도 비슷하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무등산 탐방객 전년비 70만명 감소
멸종위기 담비·삵 등 무인 카메라에 찍혀
깃대종 수달은 먹이활동 무리 이동 포착
"전국의 국립공원들도 비슷한 상황" 밝혀
눈으로 뒤덮힌 무등산 정상부 모습.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제공

“산악회 회원 50명 중 겨우 15명 나왔네요. 코로나19의 확산 우려로 참석 인원이 ‘확’ 줄었어요.”

21일 오전 9시쯤 광주 무등산 입구에서 등산을 시작한 모 산악회 회원들의 말이다. 이들은 “직장인이 많다보니까 혹시 감염되면 큰 피해가 우려돼 요즘은 산악회 운영이 힘들 정도로 적게 온다”고 했다.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호남의 명산인 무등산 국립공원 탐방객이 줄면서 생태계가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등산뿐 아니라 전국 국립공원의 상황도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무등산을 찾은 탐방객 수는 지난해 245만 2000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315만 5000명)보다 70만명(약 22%) 줄어든 수치다.

무등산 연간 탐방객은 지정 첫해인 2013년 396만 8000명, 2014년 381만 8000명, 2015년 360만 9000명 등 매해 300만 중반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가 1년 동안 이어지면서 기존보다 많게는 150만명이나 감소했다. ‘등급을 매길 수 없을 정도의 고귀한 산’이라 해서 이름 붙혀진 무등산은 한겨울이면 새하얀 능선 위로 치솟은 주상절리가 그려내는 독특한 풍경이 인상적이다. 도심과 가까워 계절마다 꾸준히 등산객이 몰려 월별 탐방객 편차가 크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월별 탐방객 추이에도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광주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2월 무등산 탐방객 수는 6만 7000명으로 장맛비와 폭염 때문에 한산했던 7월 15만 5000명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겨울 풍광이 빼어난 무등산의 2월 한 달 탐방객은 국립공원 지정 이후 지난해를 제외하고 평균 26만 8000명이다.

이처럼 사람들의 발길이 줄면서 무등산 생태계는 건강성을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난해 무등산 곳곳에 설치된 무인 관찰 카메라에는 수달, 삵, 담비, 수리부엉이, 참매, 독수리, 하늘다람쥐 등 다양한 멸종위기종이 포착됐다. 무등산의 깃대종인 수달은 여러 마리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에 나선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국립공원 관계자는 “등산객 감소로 국립공원의 생태계가 살아나고 있다”면서 “무등산뿐 아니라 전국 국립공원의 상황도 비슷하다”고 말했다.

광주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