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외국인 밀집지 임시검사소 운영.."불법체류 단속 안해"

정빛나 2021. 2. 21. 17: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 발병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정부가 '방역 사각지대'로 꼽힌 외국인 밀집 지역에 대한 방역관리 강화에 나선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21일부터 서울, 인천, 경기, 충남 등 외국인 근로자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에 임시 선별검사소 14개소를 설치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인천·경기·충남 등에 14개소 설치..무료·실명 검사
한방·재활병원 53곳 종사자도 주1회 선제검사 의무화
코로나19 검사 기다리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2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 선별 검사소에서 의료진이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46명 늘어 누적 8만6천574명이라고 밝혔다. 전날(561명)보다 115명 줄었다. 2021.2.20 kane@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최근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 발병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정부가 '방역 사각지대'로 꼽힌 외국인 밀집 지역에 대한 방역관리 강화에 나선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21일부터 서울, 인천, 경기, 충남 등 외국인 근로자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에 임시 선별검사소 14개소를 설치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14개소는 모두 국비로 지원돼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현재 실명 검사로 전환된 수도권 임시 선별검사소와 마찬가지로 외국인 근로자들도 실명 검사로 진행된다.

여기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 판단에 따라 필요 시 선별검사소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외국인 근로자들의) 불법체류 유무와 상관없이 검사는 가능하며, 검사에 기입한 정보를 가지고 저희가 불법 처리에 대한 단속이나 혹은 송환, 벌칙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혹여 이러한 검사가 불법체류 단속에 활용될까 저어해 검사를 받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각 사업주에게도 안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또 외국인 확진자의 경우 언어 문제로 치료 대응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외국인 입소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 지자체 권역에서 1차 대응을 하고, 지역 내 입소가 어려운 경우 중앙생활치료센터로 입소하도록 조치했다고 전했다.

이들 생활치료센터에는 외국인 관리와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고, 영어가 가능한 간호인력을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최근 집단감염 사례가 나온 이른바 한방병원과 재활병원에 대한 방역 강화 대책도 내놨다.

우선 현재까지 파악된 53개 한방·재활병원에 대해서는 종사자들이 의무적으로 주 1회 코로나19 선제검사를 받는다.

중대본에 따르면 53곳의 한방병원 및 재활병원 중 65세 이상 입원환자의 비율과 평균 입원 일수(20일 이상)를 고려해 표본 조사를 한 결과 65세 이상 고령자가 장기 입원하고 병상 간 간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 2회 선제검사 의무가 부과된 요양병원 종사자와 달리 이들 병원은 별다른 조처가 없어 감염 전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현재 재활병원의 경우 의료법상 종별 구분이 없는 탓에 진료과목으로 '재활의학과'를 신고한 병원이나 병원 이름에 '재활'이 포함된 병원만 조사했다고 당국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일부 병원은 여전히 감염 관리의 사각지대로 남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것으로 관측된다.

손 반장은 "한방병원, 재활병원 등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에 준하는 감염관리를 시행할 예정"이라며 "방역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현재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 지원하고 있는 감염예방 관리료 지원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shine@yna.co.kr

☞ 차 안서 50대 여성 숨진 채 발견…발달장애 딸은 무사
☞ '리설주는 샤넬라인·김여정은 투피스'…北여성 패션 트렌드는
☞ 미셸 위 "치마 속 보라는것 아냐" 전 뉴욕 시장 성희롱에 일침
☞ 만취 '블랙아웃' 여성과 모텔행 공무원 결국…
☞ 30대 여성, 70대 경비원에 "X자식아" 욕설에 폭행
☞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 "학폭 논란 입증 어려워…판단 유보"
☞ 카다시안-웨스트, 7년만에 파경…갈등 원인이
☞ 20대 청년이 이웃 소녀 2명 독살…도대체 왜?
☞ 수면마취 환자 등 82차례 '몰카' 20대 징역 1년
☞ 아파트 주차장을 내집 안방처럼…민폐족 언제까지 참아야 하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