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대우, 첫 종합대상..주식·채권·IPO서 전방위 활약

이상은 2021. 2. 21. 17: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투자은행(IB) 가운데 가장 성과가 높은 곳을 가리는 한국IB대상 제12회 종합대상 자리에 미래에셋대우가 올랐다.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매체 마켓인사이트가 집계한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지난해 미래에셋대우는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 등을 포함해 총 1조2760억원어치 주식을 발행하는 작업을 주관했다.

지난해 미래에셋대우의 주식발행(IPO 포함) 주관 수수료 수입만 434억원(수수료 점유율 14.07%)에 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12회 한국IB대상
총 1조2760억원 주식 발행 주관
명신산업 등 18개社 상장 성공
제12회 한국IB대상에서 종합대상의 영예를 차지한 미래에셋대우의 김상태 IB총괄사장(앞줄 오른쪽 세 번째)과 IB부문 임직원들이 미래에셋 센터원에서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 제공


지난해 투자은행(IB) 가운데 가장 성과가 높은 곳을 가리는 한국IB대상 제12회 종합대상 자리에 미래에셋대우가 올랐다. 미래에셋대우는 21일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고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가 후원한 ‘제12회 한국IB대상’에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는 연초부터 갑작스럽게 들이닥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시장의 부침이 유난히 컸다. 어려운 기업들은 어려운 상황 탓에, 그렇지 않은 기업들도 저금리와 자산시장 호황 등의 영향으로 자금 마련 수요가 커졌다. 시상식은 22일 오후 3시 한국경제신문사 다산홀에서 열린다.

 교촌F&B 등 18곳 상장 주관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매체 마켓인사이트가 집계한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지난해 미래에셋대우는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 등을 포함해 총 1조2760억원어치 주식을 발행하는 작업을 주관했다. 특히 지난해 전체 증권사 가운데 가장 IPO를 많이 주관해 기업의 증시 입성을 도왔다.

이 회사가 작년 상장에 성공시킨 기업은 모두 18곳이다. 테슬라의 부품사로 주목받고 있는 명신산업, 해외 모바일 게임사인 미투젠, 게이밍 기어 제조업체인 앱코 등 특색 있는 기업을 많이 상장시켰다.

이 가운데 명신산업은 유가증권시장 기준 역대 최고 수요예측 경쟁률(1196 대 1)과 역대 최고 일반청약 경쟁률(1372 대 1)을 기록했다. 치킨 프랜차이즈업체인 교촌에프앤비의 상장은 특히 ‘프랜차이즈 1호’ IPO로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미래에셋대우의 주식발행(IPO 포함) 주관 수수료 수입만 434억원(수수료 점유율 14.07%)에 달했다. 특히 IPO 주관 실적이 좋아 IPO 수수료 점유율은 20.42%를 기록했다. 김상태 미래에셋대우 사장(IB총괄)은 “다른 IB보다 조직이 젊어 향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 기업을 발굴하는 데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전력 ESG 채권 발행 도와

최근 기업의 화두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지원하는 측면에서도 미래에셋대우의 역량이 빛을 발했다. 한국전력이 지난해 11월 2000억원 규모로 ESG 채권을 발행하는 일을 대표주관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1047억원(잠정치)으로 국내 증권사 중 처음으로 ‘1조원 클럽’에 가입했다. 지난해 매출은 16조8905억원으로 전년(15조4369억원)보다 9.42% 늘었고 순이익(8183억원)은 23.19% 증가했다. 장범식 심사위원장(숭실대 총장)은 “라임자산운용 및 옵티머스자산운용 등 사모펀드 판매로 인한 문제에서도 미래에셋대우는 한 발짝 비켜나면서 투자자의 신뢰를 지켰다”며 “가치를 산정하기 쉽지 않은 프랜차이즈 IPO 등에 적극 나서는 등 리스크를 감수하고 적극적인 IB의 역할을 강화한 것이 두드러졌다”고 평가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