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도권 감염 재생산지수 1.1 근접..유행 확산 우려"

김예나 2021. 2. 21. 16: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감염 전파력을 나타내는 '감염 재생산지수'도 1.1 안팎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손 반장은 최근 확진자의 70% 이상이 몰린 수도권에 대해 "수도권 지역의 감염 재생산지수도 1.1에 근접하고 있다"면서 "수도권의 코로나19 유행 확산 추이가 계속되고 있는 점은 우려할 지점"이라고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신규확진 416명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416명을 기록한 21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마친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2021.2.21 ondol@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감염 전파력을 나타내는 '감염 재생산지수'도 1.1 안팎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국내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감염 재생산지수는 전국적으로 1.1 내외까지 상승했다"고 말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1명이 다른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이 지수가 1 미만이면 '유행 억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뜻한다.

전국 단위 감염 재생산 지수는 지난 1월 10∼16일 기준으로 0.79 수준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주별로 0.82, 0.95, 0.96 등 점차 오르는 양상을 보였으며 최근 1주 동안에는 1을 조금 넘는 수준을 기록했다.

손 반장은 최근 확진자의 70% 이상이 몰린 수도권에 대해 "수도권 지역의 감염 재생산지수도 1.1에 근접하고 있다"면서 "수도권의 코로나19 유행 확산 추이가 계속되고 있는 점은 우려할 지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수도권은 3주 연속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설 연휴(2.11∼14) 이후 매일 300명∼400명대의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감염 양상을 봐도 다양한 생활 공간에서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손 반장은 연휴를 전후한 감염 재생산지수 변화에 대해 "연휴 전까지는 대략적으로 0.9 후반대, 1에 근접한 수치를 기록하다가 연휴가 끝난 최근 1주일은 1.1 내외까지 올라온 상황"이라며 "재생산지수가 전국적으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고 전했다.

yes@yna.co.kr

[그래픽] 코로나19 감염 재생산지수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 서울패밀리 멤버 유노, 암투병 중 별세
☞ 차 안서 50대 여성 숨진 채 발견…발달장애 딸은 무사
☞ 미셸 위 "치마 속 보라는것 아냐" 전 뉴욕 시장 성희롱에 일침
☞ '리설주는 샤넬라인·김여정은 투피스'…北여성 패션 트렌드는
☞ 만취 '블랙아웃' 여성과 모텔행 공무원 결국…
☞ 30대 여성, 70대 경비원에 "X자식아" 욕설에 폭행
☞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 "학폭 논란 입증 어려워…판단 유보"
☞ 카다시안-웨스트, 7년만에 파경…갈등 원인이
☞ 수면마취 환자 등 82차례 '몰카' 20대 징역 1년
☞ 아파트 주차장을 내집 안방처럼…민폐족 언제까지 참아야 하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